작년 3분기 가계 순자금 운용액 37.7조원...주택담보대출 급증
이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택 매입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개인의 아파트 순취득 규모는 2분기 5만3천호에서 3분기 7만2천호로 크게 늘었다.
김성준 한국은행 자금순환팀장은 "가계 소득은 늘었지만, 주택 취득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서는 개인의 아파트 순취득 규모는 2분기 5만3천호에서 3분기 7만2천호로 증가했다.
가계의 자금 운용 패턴에도 변화가 있었다. 예금 등 금융기관 예치금은 한 분기 사이 21억8천만원에서 10조5천억원으로 11조3천억원이나 급감했다. 반면, 보험·연금 준비금은 5조8천억원에서 17조2천억원으로, 국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 규모도 13조4천억원에서 15조4천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주택 구매 증가와 함께 가계의 자금 조달액도 크게 늘었다. 3분기 자금 조달액은 19조9천억원으로, 2분기 대비 5조3천억원 증가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금융기관 차입이 14조5천억원에서 19조9천억원으로 5조4천억원 급증했다.
한편, 기업 부문에서는 순자금 조달 규모가 증가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3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는 25조5천억원으로, 3개월 새 1조8천억원 늘었다. 한국은행은 기업 순이익은 축소됐지만 고정자산 투자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정부 부문에서는 2분기 순자금조달 -1.1조원에서 3분기 순자금운용 +18조7천억원 상태로 전환되었다. 김 팀장은 "정부 지출이 재정 조기 집행 등의 영향으로 상반기에 집중됐다가 3분기 줄었다"며 "세입보다 지출 감소 폭이 더 커 순자금운용으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통계는 한국 경제 주체들의 자금 흐름 변화를 보여주며, 특히 주택 시장의 동향이 가계 재무에 미치는 영향을 잘 드러내고 있다. 향후 주택 시장의 변화와 정부의 경제 정책이 각 경제 주체의 자금 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