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속 '방탄'과 '결별' 사이에서 고심하는 여당
여당은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단절하지 않으면서도 적극적인 엄호는 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 당 관계자는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로선 당이 윤 대통령을 '방탄'한다고 보여서는 안 되지만, 윤 대통령을 버렸다고도 보여서는 안 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국민의힘의 태도는 윤 대통령이 지난 1일 관저 앞 집회에 참석한 지지자들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반응에서 잘 드러났다.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윤 대통령의 편지에 대해 국민의힘 지도부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일부 당직자는 "편지에 대한 해석은 사람마다 다른 것 같다"고 언급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시도와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문제에 대해서는 입장을 표명했다.
당은 체포영장 청구·발부·집행이 공수처와 법원의 '월권'이라고 주장했으며, 헌법재판관 임명과 국회 탄핵소추단의 '내란죄' 철회를 두고 위헌적 요소와 절차적 정당성 결여를 지적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우리가 공수처의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비판하는 것은 대통령 지키기가 아니다. 법질서, 법치주의, 대한민국 지키기"라고 강조했다.
정치 전문가들은 조기 대선 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 문제가 국민의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한다.
윤 대통령과 결별하지 않으면 '계엄 동조 세력'이라는 야당의 공세에 취약해질 수 있고, 관계를 단절하면 극렬 지지층의 반발과 당의 분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는 '통합과 쇄신'이라는 구호를 내세워 대응 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윤 대통령과의 관계 재정립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비해 '헤어질 결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일각에서는 당이 윤 대통령과의 결별을 주저하는 배경에 주류인 영남권 의원들의 정서가 작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은 "영남 의원들이 4년 뒤 치를 총선을 내다보고 일부 지지층 여론만을 의식한다면 조기 대선은 승산이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이 이러한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그리고 그 선택이 향후 정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