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여파로 400억 달러 목표 달성 불확실성 증가, 업계 모니터링 강화
이는 2020년 이후 5년 연속으로 연간 300억 달러를 상회하는 성과다. 해외 건설 수주액은 2010년 716억 달러로 호황기의 정점을 찍은 후 미중 무역 갈등과 중동 지역 발주 감소 등의 영향으로 2019년 223억 달러까지 하락했었다.
그러나 이후 반등에 성공해 2020년 351억 달러, 2021년 306억 달러, 2022년 310억 달러, 2023년 333억 달러 등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해왔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수주액은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미 작년 연간 수주액인 333억 달러에 근접한 실적을 보이고 있어, 올해 전체 해외 수주액은 작년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정부가 설정한 올해 해외수주 목표인 400억 달러 달성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최근의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수주 불확실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주요 건설사 관계자들은 "현재로서는 가시적인 영향이 없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가 신인도에 영향을 미쳐 수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해외건설협회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해외 입찰 참여 중이거나 협상을 진행 중인 건설사들에게 계엄 사태와 관련한 발주처의 동향을 주시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이상 징후 발견 시 정부와 협력하여 해결책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말에 수주가 집중되는 경향을 고려하면 400억 달러 목표 달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21년 12월에는 93억 달러, 2022년 12월에는 56억 달러의 추가 수주가 발생한 바 있다.
최근의 수주 증가세도 이러한 기대를 뒷받침한다. 11월 한 달간의 수주액은 41억7천만 달러에 달했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계약 완료 시점에 따라 수주 통계에 반영되기 때문에, 연말까지 상황을 지켜봐야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