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내년하반기부터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적용, 도서관 수준 소음을 지향

▲ 1등급 바닥구조 비교 ⓒ 한국토지주택공사

LH는 내년 하반기 설계에 들어가는 공공주택부터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을 전면 적용할 계획이다. 3기 신도시 공공주택에는 전부 1등급 바닥구조가 적용되는 것이다.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세종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 내에 지은 국내 최대 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을 찾았다.

실제 아파트와 똑같은 환경을 만들어 놓고 바닥구조를 시험하는 '데시벨(dB) 35 랩'이라는 이름의 연구실에서 윗집 거실에서 '발망치'를 찍으며 걷는 소리는 희미하게 들리게하고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자 진동 정도가 느껴지게 하여 실험하였다.

거실 바닥으로 무거운 공을 세 차례 튕기보니 "층간소음이 기준치 이상 발생했습니다.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라묘 월패드에서 바로 경고음이 울렸다.

층간소음 바닥구조 1등급은 의자 끄는 소리 같은 경량 충격음과 아이들이 쿵쿵 뛸 때 나는 중량 충격음이 아래층에 전달될 때 소음이 37dB 이하여야 받을 수 있다. 1등급을 뛰어넘어 도서관 소음 수준인 35dB을 지향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LH는 내년 하반기 설계에 들어가는 공공주택부터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을 전면 적용할 계획이다. 3기 신도시 공공주택에는 전부 1등급 바닥구조가 적용되는 것이다.

1300번이 넘는 현장 테스트를 거쳐 나온 1등급 모델, 1등급은 바닥 슬래브를 210mm에서 250mm로 두껍게 하고 소음 흡수를 위한 완충재 성능을 높였다. 완충재 위에 난방 배관 설치를 위해 얹는 모르타르도 더 단단한 고밀도로 바꿨다

과제는 이 기술을 민간으로 확산하고, 민간에서 개발한 기술을 결합해 더 좋은 바닥구조를 만들어내는 일이다.

LH는 내년 3월부터 '데시벨 35 랩'을 자체 층간소음 실험실이 없는 중소기업에 전면 개방할 계획이다. 그간 개발한 기술과 시공법, 실증 결과는 민간 건설사와 공유한다.

김병문 LH주택성능개선팀장은 "데시벨 35 랩을 이용하면 1년 이상 걸렸던 신기술 인증이 6개월 안팎으로 단축돼 기술 검증과 확산이 빨라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제는 1등급 바닥구조는 슬라브가 두꺼워지고 고밀도 모르타르를 사용하기 때문에 4등급에 비해 1가구당 300만에서 400만원가량으로 100만원이상 공사비가 높아진다.

이한준 LH사장은 "바닥 두께를 더 얇게 하면서도 층간소음 1등급을 맞출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면 소비자 부담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 층간소음 문제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늘어나는 공사비는 원가 절감을 하며 공급자 차원에서 감내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