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회 김은주 의원이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과정에서 경북 도민의 의견 수렴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25일 열린 제319회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 같은 우려를 표명했다.
김 의원은 "지난 10월 21일 대구시와 경북도,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대구·경북 행정통합 합의문에 서명했지만, 합의문 서명 전 22개 경북도 시군의 의견 수렴 절차는 전무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2026년 7월 대구·경북 특별시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과연 누구를 위한 행정통합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특히 행정통합 의견 수렴 과정에서 22개 경북 시군의 의견이 원천적으로 배제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합의문 7항에는 '의견 수렴 절차는 대구광역시의회와 경북도의회의 의견 청취를 원칙으로 한다'고 명시돼 있다"며 "이는 22개 경북 시군의 의견을 배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김 의원은 경북 도민의 의견을 반영하고 숙의할 수 있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 위원회' 구성을 촉구했다.
그는 "경북의 명운이 걸린 중차대한 사안인 만큼 공론화 위원회를 통해 도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바람직성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포항시에 대해서도 행정통합과 관련한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그는 "정작 경북의 제1의 도시 포항시는 아직 행정통합과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나타내지 않았다"며 "포항시는 시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경북도에 공론화 위원회 구성을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마지막으로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진행해서는 안 된다"며 "22개 경북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민주적 절차가 회복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