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22%, 제주 8.9% 등 지방 부동산 시장 위기 징후 뚜렷
금융감독원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비수도권 PF 대출 잔액이 48조3천억원에 달하며, 일부 지역의 연체율이 2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2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전체 PF 대출 잔액 130조4천억원의 37%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PF 대출의 평균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과 경기(2.77%)를 크게 웃돌았다.
지역별로는 세종시의 연체율이 22.03%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8.92%), 울산(8.07%), 전남(7.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종시의 연체율은 서울의 7.5배에 달해, 지방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가장 큰 지역은 부산(9조8천억원)이었으며, 대구(8조9천억원), 경남(4조4천억원), 광주(3조9천억원) 순이었다. 반면 세종, 전북, 제주, 전남, 강원 등은 상대적으로 작은 잔액을 기록했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비수도권 PF 시장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혁준 NICE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부동산 개발사업의 자금 조달 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며 "장기 조달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부동산 PF 연착륙이 진행되고 있지만, 지방이나 비주거시설에 대한 양극화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당국은 연내에 부동산 PF 부실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행사의 저자본-고차입 구조 개선, PF대출 시 사업성 평가 강화, PF 시장참여자에 대한 건전성 관리, PF 관련 정보관리 체계화 등이 주요 검토 대상이다.
특히 시행사의 자기자본비율에 따라 금융기관의 PF 대출 위험가중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 결과, 국내 시행사들이 총사업비의 97%를 빚으로 조달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비수도권 부동산 PF 시장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제도 개선 노력이 실효성 있는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