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5일 1기 신도시의 마지막 밑그림인 일산 신도시의 용적률을 300%(아파트)로 상향하는 등 30만호에서 54만호로 탈바꿈하는 내용을 담은 '일산 신도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공개하고 주민공람에 들어갔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1기 신도시 중 가장 낮은 평균 용적률을 나타내고 있는 일산 신도시의 용적률을 169%에서 300%(아파트), 360%(주상복합)로 상향한다.
이를 통해 2만7천호 규모의 주택이 추가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일산 신도시는 '활력있고 생동감있는 공원도시 일산'을 비전으로 △생동감 있는 녹색공원도시 △이동이 편리한 교통도시 △활력있는 자족도시 △쾌적한 정주환경도시 △살기좋은 복지문화도시 등 5가지 목표에 따라 정비될 계획이다.
특히 기본계획(안)은 호수공원, 문화공원 등으로 대표되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하면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고 주거·일자리·문화 등 융복합 도시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도시공간 구상계획도 제시했다.
1기 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수도권의 주택문제 해소를 위해 '200만호 건설계획'을 통해 조성된 대표적인 신도시로 1996년까지 29만2천호의 규모로 조성됐다.
이후 계획변경 등을 통한 오피스텔, 주상복합 아파트 등을 건설해 현재는 5곳에서 39만2천호의 규모로 성장했다.
신도시 5곳은 일산, 분당, 평촌, 산본, 중동 등이다.
신도시은 계획대로라면 2035년에 53만7천호의 규모로 재탄생될 예정이며 분당이 현재 13만7천호에서 2035년 19만7천호로 계획됐다.
이어 일산이 10만4천호에서 13만1천호, 중동 5만8천호에서 8만2천호, 평촌 5만1천호에서 6만9천호, 산본 4만2천호에서 5만8천호로 계획됐다.
국토부는 주민공람을 거쳐 지방의회 의견청취, 노후계획도시정비 지방위원회 심의, 경기도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연내 기본계획 수립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25일 일산 신도시의 기본계획(안) 공개를 마지막으로 1기 신도시 5곳의 밑그림이 모두 제시됐다며 이로써 올해 첫 시행된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에 의해 첫 번째로 정비가 추진되는 1기 신도시에 총 14.2만호의 추가 공급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또 “‘도시는 새롭게, 삶은 쾌적하게, 노후계획도시 재창조’라는 노후계획도시 정비의 비전에 맞춰 1기 신도시가 미래도시로 탈바꿈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도시정비가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특별정비계획 수립 등 후속 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