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감종훈 교수 연구팀…세계인 관심도 다차원 분석…유럽, 인식 향상 중요한 역할…국제사회 지속적 관심 촉구
포스텍 감종훈 교수(환경공학부), 박사과정 무타자 아메드 다(Murtaza Ahmad Dar) 연구팀은 가뭄에 대한 전 세계인의 인식과 관심도를 다차원으로 분석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구글 트렌즈에서 수집한 검색 빅데이터와 가뭄 지수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은 수자원 분야 국제학술지 ‘npj Clean Water’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21년까지 70개국 시민들의 가뭄 관련 검색 활동을 분석했다.
또 가뭄에 대한 인식을 지역적·원거리적·글로벌 인식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지역적 인식’은 가뭄이 발생한 국가 내에서 그 국가 시민들이 가뭄을 얼마나 인식하고 관련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찾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원거리적 인식’은 다른 나라에서 발생한 가뭄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글로벌 인식’은 특정 국가에서 발생한 가뭄에 대한 가뭄을 겪지 않는 국제사회 시민들의 관심 정도를 의미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세계적으로 가뭄의 위험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가뭄에 대한 검색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장기적인 가뭄이 발생한 경우, 지역적 인식과 글로벌 인식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경제력이 높은 국가일수록 다른 나라의 가뭄에도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카자흐스탄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등 일부 국가에서는 오히려 가뭄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도 심각한 가뭄 위험에도 불구하고 가뭄에 대한 검색량이 적었다.
이는 가뭄 인식이 그 나라가 실제로 겪고 있는 가뭄 상황에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적인 인터넷 접근성과 같은 경제적·사회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가뭄이 발생했음에도 인터넷 검색 활동량이 적은 국가들은 발생한 가뭄에 대한 정보이나 가뭄의 심각한 영향을 국제사회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지역적·원거리적 인식이 균형 잡힌 모습을 보였다.
이들 국가는 가뭄 피해를 겪지 않았지만 가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했다.
연구팀은 유럽 국가들이 글로벌 가뭄 인식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 연구팀은 인터넷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는 시민 참여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국제 연구자 양성 및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국가들이 협력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감종훈 교수는 “국가별 가뭄 지수와 인터넷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가뭄과 사회동학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을 진행한 것은 이전에 선행되지 않았던 선도적인 융합 연구 결과다”라며, “글로벌 사회의 지속적인 협력과 관심이 가뭄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라고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