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조원 규모 투자 프로젝트…수자원 사용 우려로 도전 직면…환경문제 우려 민원 따른 조치…기존 허가 적절성에 의문 제기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예상치 못한 환경 허가 재검토로 인해 난관에 봉착했다.
약 10조원 규모의 이 대형 투자 계획은 지역 수자원 사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
미국 육군 공병단은 현대차의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공장이 지역 물 공급에 미칠 영향에 대한 재평가에 동의했다고 AP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환경단체가 제기한 민원에 따른 조치로, 기존 환경 허가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10월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76억 달러 규모의 HMGMA 건설에 착수했으며, 올해 10월 가동을 목표로 공정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이번 재검토로 인해 일정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병단의 서한에 따르면, 현대차가 지역 주민들의 식수원인 지하 대수층에서 하루 2천500만 리터의 물을 사용할 계획이라는 점이 초기 허가 신청 시 언급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공병단은 공장의 물 사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기존 판단을 재고하기로 결정했다.
공병단 측 체리 드래고스 프리처드 대변인은 "현재 기존 허가는 여전히 유효하며, 현대차에 작업 중단을 요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허가 재검토에 소요될 시간은 불확실한 상황이다.
조지아주 주정부 환경보호부의 새라 립스 대변인은 이번 연방 정부의 추가 조사가 현대차 프로젝트를 위한 우물 허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HMGMA 측은 성명을 통해 공병단이 요구하는 정보 제공에 협조할 것이며, 지역 사회와 수자원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도록 노력해왔다고 강조했다.
환경단체 측은 대규모 공업용수 사용이 지역의 자연 환경과 주민들의 용수 사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환경 단체 법률 담당인 벤 키르쉬 씨는 "지역의 천연 수원과 생태계에 미칠 영향이 주요 관심사"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의 이 프로젝트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과 지역 경제 발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윈윈' 전략으로 주목받아 왔다.
HMGMA 완공 시 연간 30만대의 전기차 생산이 가능하며, 최대 50만대까지 증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9만4천340대의 판매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