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주주총회서 85.75% 찬성…아태 최대 민간에너지社 도약…포트폴리오 경쟁력 강화 기대

▲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이 27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임시주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안이 27일 양사 주주총회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됐다.

이로써 오는 11월, 매출 88조원, 자산 100조원 규모의 초대형 에너지 기업이 탄생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SK E&S와의 합병 계약 체결 승인 안건이 참석 주주 85.75%의 찬성률로 통과됐다고 밝혔다. 주총 출석률은 62.76%를 기록했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이 주주가치 훼손 우려를 들어 반대표를 던졌음에도 불구하고, 최대주주인 SK㈜를 비롯한 대다수 주주가 찬성하며 합병안이 통과됐다.

특히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기관인 ISS와 글래스루이스가 합병안 찬성을 권고한 영향으로 외국인 주주의 95%가 이번 합병안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합병은 양사가 1999년 분리된 이후 25년 만의 재결합으로, 합병 SK이노베이션은 자산 기준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민간 에너지기업 중 1위로 도약하게 된다. 국영 에너지기업을 포함하면 아태 지역 9위에 해당한다.

SK그룹 관계자는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에너지 사업에서의 확고한 성장 기반을 만들어가기 위한 취지"라고 합병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달 대한상의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에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양쪽 에너지 회사가 힘을 합해서 솔루션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며 "향후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전기를 솔루션화하면 상당한 사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합병 법인은 SK이노베이션의 석유사업과 배터리사업에 더해 SK E&S의 액화천연가스(LNG), 재생에너지 사업 등이 결합돼 에너지 포트폴리오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요구에 대응한 에너지 솔루션 패키지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합병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만 2030년 기준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2조2천억원 이상을 예상하고 있으며, 전체 EBITDA는 20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회사의 장기적인 안정과 성장의 토대가 될 이번 합병이 순조롭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할 예정"이라며 "더불어 합병 완료 이후 다양한 주주친화 정책을 적극 검토해 실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