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 인기에 수도권 중심 청약 열기 고조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이 50대 1에 육박하며 4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로 수도권에서 분양된 '로또' 아파트로 불리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들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7월 전국 아파트 1순위 평균 경쟁률은 48.67대 1로 나타났다.

총 31개 단지, 1만320가구 모집에 50만2천294명이 신청했으며, 이는 올해 상반기 전체 청약자 수를 상회하는 수치다.

이번 경쟁률은 2020년 11월(55.96대 1) 이후 월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3천346가구 모집에 32만568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95.81대 1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793가구 모집에 14만7천682명이 신청해 186.23대 1의 경쟁률로 그 뒤를 이었다.

단지별로는 경기 화성시 '동탄역 대방엘리움 더 시그니처'가 186가구 모집에 11만6천621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626.99대 1을 기록했다.

경기 과천시 '과천 디에트르 퍼스티지'와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 역시 각각 228.51대 1, 527.3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들 인기 단지의 공통점은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주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되어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는 일반적으로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시세차익이 예상되어 '로또 아파트'로 불린다.

리얼투데이는 이러한 청약 열기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자민 리얼투데이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강남 3구에서 그동안 분양을 미뤄왔던 서울 강남구 '래미안 레벤투스', 서울 서초구 '디에이치방배' 등 분양가 상한제 단지가 줄줄이 나올 예정이어서 달아오른 열기를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청약 열기는 저렴한 분양가와 향후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결합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과도한 청약 경쟁이 실수요자들의 내집 마련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