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삼노, 임금 손실 부담으로 현업 복귀... 장기 투쟁 예고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전삼노는 조합원들의 임금 손실 부담과 대표교섭 노조 지위 종료가 임박한 점 등을 고려해 '무기한 총파업'을 일단 접기로 했다.
그러나 노조는 게릴라식 부분 파업과 사회적 쟁점화 등을 통한 '장기전'을 예고해, 앞으로도 노사 갈등이 지속될 전망이다.
전삼노는 "조합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사측을 지속 압박할 투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5일까지 조합원들의 현업 복귀를 지시했다.
노조는 투쟁의 지속을 위해 '장기 플랜'이 필요하다고 판단, 국회와 법조계, 시민단체 등과 연대해 사회적 쟁점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지난 1일 이재용 회장 자택 앞 기자회견에서 "사측은 총파업을 견딜 수 있다고 하는데, 그럼 저희는 더 큰 투쟁으로 가야 한다"며 "국회나 지지 단체를 동원해 사회 이슈화를 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전삼노가 활동 반경을 넓히는 이유로 노조 힘만으로는 임금교섭 달성이 어렵고, 현업 복귀 후 파업 동력 저하 우려를 꼽았다.
노조는 당초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치권과의 연대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일정 조율 문제로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삼노는 앞으로 사무직노조와의 통합을 추진해 대표교섭 노조 지위를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현재 대표교섭권은 5일까지만 보장되며, 6일부터는 새로운 교섭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전삼노의 현업 복귀 결정이 '무임금 무노동' 원칙에 따른 조합원들의 임금 손실 누적과 보상의 현실적 어려움을 고려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재계 일부에서는 노조가 별다른 성과 없이 파업을 종료했다는 비판적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 측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원만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