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첫 CEO 타운홀미팅에서 미래 전략 발표…'소재분야 글로벌 최고기업' 비전 제시…철강·이차전지소재·신소재 '3대 성장축' 신소재 키워 2030년 5조원 이상 매출 낸다…M&A 기반 신사업 추진
포스코그룹이 오는 2030년까지 그룹 합산 매출액을 현재의 두 배로, 영업이익은 네 배로 확대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추락한 주가를 다시 상승세로 이끌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일 포항에 위치한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장인화 회장의 취임 이래 처음으로 진행된 100일 현장동행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CEO 타운홀미팅을 개최해 임직원들과 함께 미래 경영 비전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장 회장은 "우리 그룹은 사업과 경영체제, 조직문화 전반에 걸친 근본적인 경쟁력과 신뢰를 회복하면서 한계를 초월해 혁신하고 미래에 도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철강, 이차전지소재 및 신소재 분야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그룹 합산 매출액 2배 증가와 영업이익 4배 성장을 달성해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원을 목표로 소재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업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우뚝 서자"고 강조했다.
특히, 이날 발표된 '7대 미래혁신과제' 중간 점검 결과와 계획 발표는 철강, 이차전지소재, 신사업 발굴·사업회사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구체적인 실행 전략들이 소개돼 주목을 받았다.
철강 부문에서는 제조 원가 절감 및 판매와 구매 경쟁력 강화를 통해 원가절감 및 수익 창출 효과를 보고 있으며, 탈탄소 전략 구축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GX(녹색전환) 기술개발 로드맵 마련과 함께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투자 우선 순위도 설정했다.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는 생산성 향상부터 원료 수급 및 판매처 다변화에 이르기까지 그룹 전체 밸류체인의 질적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남미 염호 및 북미·호주 광산 자원회사와의 협력으로 우량 자원 투자 방안도 확정했다. 아울러 글로벌 원료 공급망 다변화와 차세대 기술표준 선점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신소재 분야 역시 친환경에너지와 신모빌리티 등 연계 사업과 항공·우주 적용 가능한 첨단소재 개발에 집중함으로써 미래 산업에서의 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더불어 그룹 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재무구조 개선과 본원 경쟁력 집중에 초점을 맞추어 구조 조정 계획도 확립으며, 조직문화 혁신과 윤리경영 강화 방안도 제시되어 내외부 이해 관계자들로부터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그룹 재무구조 개선과 본원 경쟁력 집중을 위해 적자가 지속되거나 투자목적을 상실한 사업들에 대한 구조개편 계획을 확정했으며, 향후 3년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장 회장은 “독립적이고 투명한 지배구조 구축과 함께 국내외 기업에 롤모델이 될 수 있는 최고경영자 후보군 육성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라며 “능력과 성과에 기반한 보상 체계와 소통에 기반한 지역사회와의 상생 발전”도 강조하며 포스코그룹의 변화와 혁신 의지를 재확인시켰다.
또 조직문화 측면에서는 능력·성과에 기반한 합리적인 보상과 인사운영을 통해 임직원이 자부심을 가지고 수평적이면서 유연한 조직문화를 구축할 것을 밝혔으며, 선순환과 소통에 기반한 지역과 상생발전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