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학제학과 융합전공 김태완 교수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뇌에 이식한 줄기세포가 이식 후 사멸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임상 적용이 가능한 세포 생존율 향상법을 개발했다.
12일 DGIST에 따르면 이번 연구를 통해 난치성 파킨슨 환자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해 생기는 질병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로부터 만든 새로운 도파민 신경세포를 환자의 뇌에 이식하는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가 높은 수준으로 발전했음에도 도파민 전구세포 이식의 안전성 문제와 이식한 세포가 대부분 사멸하는 문제는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김 교수는 2021년 줄기세포로부터 임상 적용 가능한 도파민 신경세포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논문을 국제 전문 학술지인 '셀 스템 셀'l에 게재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 적용 가능한 도파민 전구세포를 제작했고 현재 미국에서 12명의 파킨슨 환자가 세포 치료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이식한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하는 원인을 규명해내면서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했다.
김 교수는 체내 유전자 조작 스크린 방법 등을 이용해 TNF(종양 괴사 인자)-NFκB-p53 신호전달 체계가 이식한 세포의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370개의 항체를 이용한 항체 스크린을 통해 순수한 도파민 신경세포를 분리해 내는 항체를 발견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 시 이식 후 사멸하는 매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이로부터 순수 도파민 신경세포의 이식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임상 적용 가능한 방법을 발견했다"며 "이 기술을 통해 줄기세포를 이용한 난치성 뇌 질환에 대한 세포 치료제 개발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