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 신사옥 입구 ⓒLH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임대주택 운영을 하며 본 손실이 2조2천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LH의 임대주택 운영 손실은 2조2천565억원으로 지난 2022년(1조9천649억원)에 비해 15%가량 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LH 임대주택 운영 손실은 지난 2018년 9천848억원, 2019년 1조2천883억원, 2020년 1조5천990억원, 2021년 1조7천792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LH가 관리하는 임대주택 물량이 늘고 상당수가 노후화하면서 관리·운영에 들어가는 비용도 덩달아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LH가 관리하는 임대주택 물량은 지난해 기준 약 143만4천913가구로 지난 2020년(112만1천925가구) 대비 31만여가구 늘었다.

LH가 작년 한 해 집행한 임대주택 수선유지비는 1조480억원으로 전년(8천811억원)에 비해 1천669억원가량 증가했다.

LH 관계자는 "임대주택 물량이 늘고 1기 신도시 임대주택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다 보니 수선유지비와 운영 손실이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