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이후 ESS 설치현황 부실정보 총 37건 밝혀져

김정재 국회의원(포항북구·자유한국당, 사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17년 이후 EES 화재사건 총 26건을 겪고도 현재 ESS 설치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설치 지역 오기, 제조사 정보 미확보 상태로 엉터리 관리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는 김 의원은 지난 4일 산업통상자원부 ESS 설치 현황자료를 제출받고, 2017년 이후 ESS는 전국 총 1,215곳에 설치돼 있으며, 이중 지자체 및 관련시설 48곳, 공공기관 43곳, 학교는 20곳, 대형쇼핑몰 11곳, 병원 3곳 등 일상 생활에 밀접한 다중이용시설에도 다수 설치돼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ESS(Energy Storage System)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공장의 남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전력시스템으로, 지난 2017년 8월 2일 전북 고창의 ESS 화재를 시작으로 계속 화재가 잇따르자 정부는 5개월여의 민관합동 조사를 통해 2019년 6월 11일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충남 예산(‘19.8.30), 강원 평창(‘19.9.24), 경북 군위(‘19.9.29)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의 원인조사에 대하여 모호한 사고원인, 실증실험의 낮은 신뢰도 등 각종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정재 의원은 “지금까지의 사고가 명백히 제조사 탓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총 26건의 ESS 화재 사고 중에서 배터리제조사가 LG화학은 14건, 삼성SDI은 9건인데, 산자부가 제출한 2017년 이후 설치된 ESS 현황자료에 의하면 삼성SDI가 652곳, LG화학은 379곳으로 전국에 설치된 ESS 중 85%가 두 대기업 제품에 해당한다. 화재 예방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라도 ESS 설치현황 정보는 정확한 관리가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정부는 어느 지역에, 제조사는 어딘지, 얼마만큼 용량의 배터리가 설치되었는지 각각의 정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자료를 엉터리로 관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재의원은 “본인이 자체 파악한 ESS 설치현황 부실정보가 37건이지만, 부정확한 정보는 그 이상일 수 있다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며,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무리하게 확장하던 중 잇따른 ESS 화재가 발생하자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원인분석을 하고 대책을 발표하며 혼란을 자초했는데, 철저히 화재예방을 대비해도 부족할 판국에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음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앞으로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를 ESS 시한폭탄이 되지 않도록 정부는 책임지고 화재원인 재조사하고 현황 파악 철저히 해, 더 이상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대책 강구하는데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