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테크노파크 하인성 원장은 "'글로컬대학' 육성이 소멸직전인 지방을 살리는 지름길"이라고 역설했다.
하인성 원장은 지난 8일 경북테크노파크에서 가진 본지 박운석 대표와의 대담에서 '지방화시대에 글로컬대학과 지자체의 연계성'을 강조했다.
하 원장은 "글로컬대학의 취지는 지방대를 글로벌 수준의 대학으로 키워 지역사회의 성장을 이끌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술은 대학 연구진에서 나오는 것이기에 대학에서 생산된 기술을 지방기업들이 산업화하는 것이 향후 지방화 시대를 이끄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것이 지역 발전의 구심점으로 작용해 지방분권시대에 지역 특성을 살려 인구가 모이고 산업이 발전하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하인성 원장은 "현재 경북도내 가장 활발한 파트너십으로 상생을 도모하는 곳이 포항시와 포스텍"이라며 "이 상생 모델을 경북도내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산·학·연에서 생산된 기술을 기업에게 이전시켜줬다면 현재는 상위기업들이 기술을 사가는 시대로 변했다"고 설명했다.
또 "상위기업들이 사가는 기술을 지역사회에 정착시켜 이를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시킬 수 있다면 지방소멸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하 원장은 실례로 포스텍이 글로컬대학 계획안에서 제안한 '수요자向 교육혁신으로 지역 전략산업 혁신과 신산업을 창출하는 글로벌 창업 퍼시픽 구축'을 들었다.
하 원장은 "포스텍의 제안은 교육측면을 강화하고 포항의 첨단 산업 발전 및 미래형 도시 변신을 주도하겠다는 목표의식이 보인다"며 "포항시가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포스텍은 '세계로 나아가는 글로컬', 안동대-도립대는 'K-인문과 세계 중심의 공공형 대학' 비전을 제시했는데 이를 지역사회에 어떻게 녹여낼 지 기대가 된다"며 글로컬과 지역사회의 상생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정부가 내놓은 글로컬 대학의 의미는 세계화 'global'과 지역화 'local'의 합성어로 비수도권 학교를 적극 육성해 지방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 사업이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 및 지역격차 등 현재 닥쳐있는 지방의 위기상황을 대학과 지역사회 간 결속력있는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동반성장 견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선정된 10개 글로컬대학에 경북도내 포스텍과 안동대-도립대가 포함돼 5년간 약 1000억원 정도를 지원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