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장기화 영향 애로 가중…37.5% 자금 악화 이유 매출 감소…업종별 건설업 고충 최다 토로

대구지역 기업의 절반 이상은 고금리와 고물가 등으로 자금 사정이 지난해보다 나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상승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 증가에 더해 고금리 장기화의 영향이 소비심리 악화, 매출부진으로 이어지면서 자금애로를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1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최근 지역 283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자금 사정 애로 및 지원과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5.5%가 고금리·고물가·고환율로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다소 또는 매우 악화했다'고 답했다.

자금 사정이 나아졌다는 기업은 7.5%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건설업(63.8%)과 제조업에서는 기계부품(58.0%), 섬유(64.7%)에서 ‘악화되었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자금 사정이 나빠진 이유로는 매출 감소(37.5%)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금리상승(21.3%), 원자재가 상승(20.2%) 등의 순이었다.

제조업 중 전기전자(54.5%), 섬유(48.6%)는 ‘매출감소’ 비율이 높았고, 자동차부품은 ‘금리상승’(37.9%)에 대한 응답이 많았다.

건설업은 ‘인건비 상승’(25.8%), 유통서비스업은 ‘매출감소’(41.4%)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기업들의 자금조달 사정도 좋지 않아 자금 조달이 '어렵다'고 답한 업체(47.3%)가 '원활하다'라고 답한 업체(11.7%)보다 월등히 많았다.

업종별로는 건설업(62.1%)에서 ‘어렵다’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조업중에서는 ‘자동차부품’(54.0%)에서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다.

건설업, 유통서비스업의 경우 ‘매우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제조업 평균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건설 19.0%, 유통서비스 18.2% 〉〉 제조업 10.0%)

자금조달이 어려운 이유로는 고금리(36.9%)를 가장 많이 꼽았고, '대출한도 축소·심사강화'(31.0%), '담보·보증 한도 부족'(14.3%) 등의 순이었다.

제조업 중 ‘기계부품’(40.0%), ‘자동차부품’(37.5%)과 건설업(36.5%), ‘유통서비스업’(42.9%)은 ‘고금리’를 자금조달이 어려운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섬유’(35.0%), ‘전기전자’(44.4%)는 ‘대출한도 축소/심사강화’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지역 기업이 금융권에서 이용하는 대출금리는 4∼5% 구간이 가장 많았고, 전체 평균은 5.06%로 집계돼 지난해 10월 대구상의 조사 때(4.3%)보다 0.76%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 분포 역시 전 업종에서 ‘4~5%’ 구간이 가장 많았으나, 건설과 유통서비스의 경우 ‘6~7%’, ‘8%이상’ 구간 분포가 타 업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기업의 평균금리는 ‘5.06%’로 지난해 10월 대구상의에서 조사3)한 대출금리 ‘4.3%’ 보다 ‘0.76%p’ 상승했다.

자금의 주용도는 ‘원부자재 구매’(48.8)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 ‘원부자재 구매’(53.2%)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건설업(53.4%), 유통서비스업(48.5%)은 인건비 등 ‘운전자금’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정책금융 활용여부에 대해서는 ‘활용중’인 업체가 44.5%(126개사)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20.3%), ’유통서비스업‘(39.4%)은 제조업에 비해 정책금융 활용도가 낮았다.

반면, ‘제조업’은 52.9%가 정책금융을 활용 중이라고 응답했으며, 특히, ‘자동차부품‘은 67.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활용중인 정책금융은 ‘신용보증’(51.6%)이 가장 많았고, ‘저리대출’(26.2%), ‘이차보전’(22.2%) 순이었다.

정책금융 한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는 응답이 65.1%로 ‘충분하다’(9.5%)는 답변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중 자동차부품(68.0%)과 건설업(66.7%), 유통서비스업(69.2%)에서 ‘부족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정책금융 활용 시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선정기준이 높다’(45.2%)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복잡한 절차/서류’(23.8%), ‘담보요구 수준이 높음’(14.3%), ‘정보부족’(11.9%) 순으로 나타났다.

정책자금을 활용하지 않고 있는 업체들(156개사)은 그 이유에 대해 ‘필요성을 못 느껴서’(33.3%), ‘신청자격 미달’(22.4%), ‘정보부족’(17.3%), ‘대출한도 부족’(10.3%), ‘절차의 어려움’(9.0%) 등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금리가 높아서’(3.2%)라는 응답은 가장 적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시장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출·보증 한도 확대, 이차보전 확대, 상환유예 연장 등 특별금융지원에 대한 검토와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지원정책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