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미분양 우려에 완만 상승...경북 10p 이상 큰 폭 상승 전망

7월 세종을 제외한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상승하며 대구경북 지역도 이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대구지역은 미분양에 대한 우려를 여전히 씻어내지 못하며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경북지역은 큰 폭의 지수 상승을 보이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월 대비 7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국평균 14.3p 올라 97.5로 전망됐다.

수도권은 102.7로 전망됐고, 지방광역시는 93.7, 기타지방은 98.3으로 각각 12.3p, 16.8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은 지난 달 대비 10.3p 상승해 116.2를 기록했다.

지방은 경북이 11.6p(81.3→92.9)를 비롯해 광주 35.8p(84.2 →120.0), 전남 31.8p(76.5→108.3), 충ska 26.4p(81.3→107.7), 울산 23.5p(68.8→92.3), 대전 20.2p(94.1→114.3), 강원 18.9p(70.0→88.9), 경기 15.6p(84.4→100.0), 경남 15.4p(92.9→108.3), 전북 15.4p(84.6→100.0), 충북 14.3p(85.7→100.0) 등 대부분의 지역이 10p이상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세종은 지난달 대비 15.4p 하락한 76.9로 전국에서 유일한 하락전망을 보였으며, 부산(76.2→78.9), 대구(72.7→80.0)는 전월과 유사한 수준의 전망치를 나타내고 있다.

주산연은 전국적으로 분양물량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세종, 부산, 대구 등 미분양 우려가 큰 지역에서는 여전히 아파트 분양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상황인 것으로 분석했다.

또 정부의 활성화대책과 함께 공급물량 조절, 할인분양 등 사업자의 자구책 시행에 힘입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청약경쟁률이 개선됐으며, 분양시장의 긍정적 인식 역시 높아진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입지 및 가격 경쟁력에 따라 양극화가 극대화되는 상황으로, 사업추진시 분양시기 및 가격수준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주문했다.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월 대비 7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14.6p, 분양물량 전망지수도 10.6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0.1p 감소될 것으로 조사됐다.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14.6p 상승해 117.7로 전망되며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분양가격 전망지수가 상승한 것은 건설원가 상승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청약경쟁율과 분양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지수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분양물량도 10.6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작년 6월 이후 13개월만에 전망지수가 90선을 회복했다.

그간 경기부진과 자금조달 어려움, 미분양 리스크 등으로 분양시기를 미뤄왔던 사업자들이 다시 분양에 나서기 시작하면서 분양물량 전망이 상승한 것으로 판단됐다.

미분양물량 전망은 지난달 대비 0.1p 감소하며 98.4로 전망됐다.

주산연 그간 공급물량이 줄어 미분양물량이 소폭 감소했으나, 이미 적체된 미분양물량과 하반기의 공급물량이 맞물리면 향후 미분양물량이 증가될 수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