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쪽샘 44호 무덤 조사·연구 결과 공개…“무덤 주인은 10살 전후의 최상위층 왕족 여성”…이전에 볼 수 없던 비단벌레 날개 장식 유물도 발견
무덤의 주인은 약 1천500년 전 신라 공주로 추정되며, 이번에 발견된 비단벌레 날개 장식 등 새로운 형태의 유물과 머리카락은 향후 조사와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4일 경북 경주시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쪽샘 44호 무덤을 조사·연구한 성과를 정리하며 시사회를 열고 주요 유물을 공개했다.
쪽샘 유적은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이 묻힌 접단 묘역으로, 2007년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한 이래 1천기가 넘는 신라 무덤이 확인됐다.
44호 무덤의 경우 2014년 5월 정밀 발굴조사에 나서 지난달 조사를 마쳤으며, 출토된 유물은 총 780점에 이른다.
무덤의 주인은 금동관을 비롯해 금 드리개, 금귀걸이, 금·은 팔찌, 반지, 은제 가슴걸이 등 화려한 장신구를 착용한 상태였고, 곁에 놓인 부장품은 600여 점에 달했다.
특히 비단벌레 날개 장식의 정확한 용도를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큰 성과로 평가된다.
지난 2020년 11월 출토됐을 때에는 말을 타거나 부리는 데 쓰는 마구(馬具)에 썼으리라 추정해왔다. 그러나 비단벌레 장식의 출토 상태, 위치 등을 연구·분석한 결과, 비단벌레 날개 장식은 대나무를 바탕으로 한 ‘죽제(竹製) 직물 말다래’의 일부인 것으로 확인됐다.
말다래는 말을 탄 사람의 다리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아래에 늘어뜨리는 판을 뜻한다.
최장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그간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말다래는 하늘로 날아오르는 천마(天馬) 문양을 다룬 게 많았으나 비단벌레 장식은 새로운 형태”라고 말했다.
사람의 머리카락이 발견됐는데, 이는 삼국시대 유적에서는 사실상 첫 사례로 꼽힌다.
발굴단은 2020년 금동관 주변에서 나온 5cm 폭의 유기물 다발을 발견해 현미경으로 살펴본 결과, 사람의 머리카락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인태 학예연구사는 “삼국시대 유물 가운데 머리카락이 출토된 경우는 거의 없다”며 “모발을 4∼5가닥으로 나눠 땋거나 (직물에) 닿은 것으로 보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남아있는 모발의 상태가 좋지 않아 DNA 분석 등은 쉽지 않다고 한다.
쪽샘 44호 무덤의 주인은 5세기 후반 당시 최상위 계층이었던 왕족 여성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앞서 무덤 주인의 키를 150㎝ 전후로 봤으나 지금까지 나온 유물 분석 자료와 조사 내용을 토대로 키가 더 작고, 어린 여성일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소 측은 “착장한 장신구와 유물 분석 등을 통해 무덤 주인공은 키가 130㎝ 내외, 나이는 10세 전후의 신라 왕실 여성, 공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무덤 주인의 신분을 나타내듯 장례 당시 4명 이상이 순장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소는 추정했다.
최응천 청장은 “무덤에서 나온 금동관, 금동신발 등을 보면 (다른 유물에 비해) 작다는 생각이 들 것”이라며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공주를 위해 특별히 만든 물건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쪽샘 44호 무덤은 묘역 조성에서부터 무덤을 만든 후, 제사에 이르기까지의 축조 과정을 하나의 고분 조사에서 밝힌 유일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유적 주변에 설치한 발굴관은 당분간 유지할 예정이다.
정인태 학예연구사는 “올해 11월부터 고분을 축조한 과정을 역으로 재현하는 실험에 나설 예정”이라며 “향후 활용 문제는 경주시와 문화재청이 협의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연구소는 보존 처리를 마친 유물을 12일까지 발굴관에서 관람객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김대엽 기자
chomsky00@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