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아파트 입주율은 66.8%로 3월 대비 2.2%p 상승, 4월 대비 5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0.9p(84.7→85.6)
5월 대구경북지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대구는 하락하고 경북은 상승했다.
수도권, 광역시, 도 지역 등 전국적인 소폭 상승세에 경북은 같은 추이를 보였지만 대구는 오히려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 4월 대구는 상승하고 경북지역은 하락했던 것과 정반대 양상이다.
5월 대구광역시의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66.6으로 전월 72.0에서 5.4p 하락했다.
지난 3월 59.2에서 4월 72.0으로 큰 폭 상승했는데 이 흐름을 5월에 이어가지 못했다.
경북지역의 5월 87.5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5로 4월 71.4에서 16.1p 크게 상승했다.
3월 88.8에서 71.4로 큰 폭 하락했던 지수를 5월 들어 채우는 모양새다.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에 따르면 4월 대비 5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0.9p(84.7→85.6)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7.1p(79.1→86.2)상승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광역시는 5.3p(89.3→84.0)하락, 道지역은 3.2p(83.3→86.5) 상승할 것
으로 조사됐다.
5월 입주전망지수는 서울(83.3→100.0)과 대전(88.2→106.2)이 각각 16.7p, 18.0p 상승해 가장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연은 두 지역의 올해 입주물량이 매우 적고, 주택시장의 회복 조짐과 아울러 특례보금자리론,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 규제 완화 등으로 자금조달이 수월해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특히 대전의 경우는, 금년 입주물량이 약 4천세대로 매우 적어 입주전망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측면이 있다.
수도권 내에서는 인천(70.3→77.7)은 7.4p 상승, 경기(83.7→81.0)는 2.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수도권 입주전망은 상승했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100.0→76.1)과 울산(107.1→87.5)의 입주전망지수가 큰 폭
으로 하락했다.
이는 부산과 울산이 지난 달 각각 26.1p, 24.8p로 크게 상승해, 급격한 지수 상승에 대한 조정으로 인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주택시장은 현재 침체 국면을 지속하고 있으나 입주전망지수는 6개월 간 총 39.3p(22년 11월 46.3→올 5월 85.6) 지속적으로 상승해, 규제완화 정책, 거래량 증가 등으로 주택사업자들의 시장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입주전망지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지역은 거의 없으므로 시장 침체의 속도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수준으로만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주택산업연구원의 주택사업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4월 전국 입주율은 66.8%로, 3월 대비 2.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73.6%에서 75.7%로 2.1%p 상승했으며, 5대 광역시는 61.0%에서 64.4%로 3.4%p, 기타지역은 63.9%에서 65.1%로 1.2%p 상승했다.
수도권 중 서울(76.2→81.9)은 5.7%p 상승했으며, 인천·경기권(72.3→72.6)은 0.3%p로 소폭 상승했다.
비수도권 또한 제주(68.3→67.8)의 0.5%p 하락을 제외하고는 전부 상승했으며, 특히 대전·충청권(64.0→68.7)의 입주율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4.7%p)했다.
수도권 입주율은 지난 3월, 2017년 4월 이후 최저 수치(73.6%)를 기록했으나, 2.1%p 상승해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방은 지난달의 2.3%p 상승에 이어 2.1%p 재차 상승하해 2달 연속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입주율 자체는 60%대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므로 침체된 지방 주택시장이 회복기에 접어들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지연 47.2%, 세입자 미확보 24.5%, 잔금대출 미확보 15.1%, 기타 7.5% 순으로 나타나 미입주 원인의 순위는 전월과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세입자 미확보가 4.6%p (29.1%→24.5%) 하락했다.
미입주 원인 중 세입자 미확보가 줄어든 이유로는 지난 3월 2일부터 시행한 전세퇴거자금대출의 규제 일괄 폐지, 시중은행의 전월세대출 금리인하 등 대출환경 개선으로 전세자금 조달이 원활해져 세입자 확보
여건이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