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저가→대형·고가 아파트 확대...'깡통전세' 우려 심화...80% 이상 아파트 25만세대 넘어

대구지역의 계속되는 아파트 가격 하락에 전세가가 매매가를 웃도는 ‘역전세난’, ‘깡통전세’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대구지역의 아파트 매매가 시세 하락 폭이 전세가 하락 폭보다 훨씬 큰 경우가 많은 것이, 일부 시세 상승지역에서는 매매가 상승 폭보다 전세가 상승 폭이 더 커지며 이런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금리 인상과 대외적 환경으로 인한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며 유례 없는 거래 절벽으로 시세 하락세가 심화되며 ‘깡통 전세’에 대한 우려가 저가 아파트에서 중·고가 아파트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사이트 ‘부동산지인’의 8월 1일 기준 시세를 적용해 대구지역의 100세대 이상 아파트 전세가율(전세가 시세/매매가 시세)을 분석한 결과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선 세대 수는 총 30개 단지, 6천863세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서구는 없었으며, 중구 1개 단지, 108세대, 달성군 2개 단지, 183세대, 수성구 2개 단지, 198세대, 동구 1개 단지, 252세대, 남구 2개 단지 525세대 순으로 점차 증가했는데, 달서구(9개 단지, 1천638세대)와 북구(14개 단지 4천67세대) 두 지역에서 폭증하며 전체 물량의 약 83.1%를 차지했다.

예부터 수요가 많은 소형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전세가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대구의 전세가율 100% 이상 세대 중 공급면적 25평을 넘는 세대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었다.

26평 이상 세대는 달서구의 상인중석타운, 북구의 칠곡보성3차, 칠곡산호한양, 한신중앙, 현대전원, 칠곡화성타운3차, 칠곡공작한양, 칠곡현대, 칠곡에덴타운 등으로, 북구를 중심으로 주로 나타났다.

‘깡통전세’의 우려가 있는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대구의 아파트는 총 405단지, 25만7천762세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중구가 7단지, 3천402세대, 서구 4단지 4천189세대, 남구 11단지, 4천995세대, 수성구 41단지, 2만4천38세대, 달성군 55단지, 3만3천592세대, 동구 68단지, 3만9천265세대, 달서구 93단지 7만2천801세대, 북구 126단지, 7만5천480세대 순으로 높았다.

32평형인 달성군 청구청산맨션, 동구의 강변동서마은 전세가율 97%, 98%로 역전을 목전에 두고 있고, 서구의 중리롯데캐슬과 평리롯데캐슬도 33~58평형의 세대에서 전세가율이 82~86%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 준공돼 시세가 5억이 넘는 남구 앞산비스타동원 33~34평형 아파트도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으며, 남구의 대형평수인 효성타운1차 40평과 43평형은 85%를 넘었고, 53평형인 보성대덕2차도 전세가율이 90%를 넘었다.

지난해만 해도 1억에 못미치거나 조금 웃도는 소형 평수를 중심으로 이같은 역전현상이 종종 발생했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되고 있는 매매가 하락세를 이기지 못하고 물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대형 평수 및 고가아파트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 전문가 A씨는 “대구는 금리인상과 대내외적 상황으로 인한 물가상승, 경기침체로 거래가 급감하고 시세는 끝을 모르고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구가 7월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긴 했지만 부동산 시장이 정상화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으로 이같은 역전세난 현상은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전세보증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피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대구경찰청은 이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무자본 갭투자, 보증금 미반환(깡통전세), 불법 중개·매개(공인중개사법 위반) 등 7개 유형을 중점 단속 대상으로, 광역수사대와 지능팀을 중심으로 전담 수사팀을 꾸려 지난 1월부터 단속에 나섰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