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프로그램 대부분 무료…국적·종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우리 전통 선사상·문화 널리 알리자”…26일까지 개원 기념 ‘간화선 대법회’
국내 첫 ‘국민 선방(禪房·참선방)’을 표방하는 문경 세계명상마을이 20일 공식 개원했다.
2015년 전국선원수좌회의 고우·적명스님 등 한국 대표 선승들이 건립에 뜻을 모은 뒤로 7년 만에 이룬 결실이다.
조계종 종립선원인 봉암사 인근에 있는 세계명상마을은 8만4천여㎡(2만5천410평) 부지에 명상관 2동과 수행자 숙소, 세미나실과 명상 카페 등이 있는 다목적 기능의 웰컴센터가 들어섰다.
‘중(中)선방’이라 불리는 명상관 한 곳은 100명이 넘는 이들이 동시에 좌선에 참여할 수 있다. 웬만한 선원에 있는 선방보다 큰 규모다.
이곳에는 외국인 수행승과 국내 선승의 개인 수행처인 ‘숲속 꾸티(kuti)’, 일반인들의 개인 수행처인 ’2층 꾸티‘, ’숲속 명상길‘이 추가로 자리할 예정이다.
세계명상마을을 찾는 이들은 한국불교 전통 수행법인 간화선을 중심으로 호흡명상으로 불리는 초기불교 수행법을 통합 수행할 수 있다.
열린 선방을 지향하는 명상마을의 특징은 수행 프로그램이 대부분 무료라는 점이다. 두 달에 한 번 열릴 예정인 ‘9일 화두 명상 집중수행’, 평일 선(禪)스테이는 내·외국인, 불자든 비불자든 국적·종교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매주 금∼일요일 열리는 ‘3일 집중 수행’ 프로그램만 참가비가 있다.
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들에게는 매일 시간표에 따라 좌선, 걷기 명상 등 다양한 수행 기회가 주어지지만, 어느 정도 참여할지는 참가자 자율이다.
다만 수행 참가자는 전국에서 선승으로 이름을 알려온 승려 53명이 돌아가며 진행하는 수행 점검 시간에는 참석하도록 안내를 받는다.
이날 열린 개원식에서는 세계명상마을이 선수행의 지평을 넓히고, 한국 불교 선문화의 중심이 되기를 바라는 염원이 이어졌다.
전국선원수좌회 공동대표 일오스님은 대회사에서 “명상수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이 시대에, 수행의 지평을 넓히는 시절 인연에 도달한 것으로 생각한다”며 “시대적 요구상황이 명상마을 불사를 이끈 힘이 됐다”고 개원을 축하했다.
이어 “이제 우리가 할 일은 이 도량에서 열심히 정진하고 잘 운영해가는 것”이라며 “명상마을을 앞으로 많이 아껴주시고 이용해달라. 아낌없는 후원으로 ‘깨달음의 길’을 같이 갈 수 있도록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도 격려사를 통해 “세계명상마을 개원과 간화선대법회를 계기로 우리 전통 선 사상과 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알려 위기에 빠진 인류 세계에 희망의 등불이 되기를 바란다”고 바랐다.
개원식에 이어서는 전국선원수좌회가 격년마다 열어온 ‘간화선 대법회’가 일주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대법회는 그간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다 명상마을 개원을 기념해 3년 7개월 만에 열렸다.
공주 학림사 조실이자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에 선출된 대원스님은 ‘생활 속에서의 선’을 주제로 대법회 첫날 대중 설법을 폈다.
대원스님에 이어 22일에는 산문 밖 첫 법문에 나서는 ‘아흔의 노승’ 부산 범어사 방장 지유스님이, 23일 대흥사 정찬스님, 24일 축서사 조실 무여스님, 25일 석종사 조실 혜국스님, 폐막일인 26일에는 조계종 종정이자 통도사 방장 성파스님이 ‘간화선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대법회가 열리는 기간 3박 4일씩 두 차례에 걸쳐 집중 수행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명상마을 개원 이후 첫 집중 수행인 이번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은 매일 선승들의 법문과 함께 걷기 명상, 집중 수련 등에 참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