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은 예금은행, 비은행금융기관 모두 증가폭 확대...여신은 예금은행 감소폭 축소, 비은행금융기관 증가폭 확대

ⓒ류가현 기자

지난 6월중 경북동해안지역 금융기관의 수신은 증가폭이 확대됐으며 여신은 증가세로 전환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에 따르면 수신은 5월 +2885억원에서 +4174억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으며 여신은 5월 -261억원에서 6월 +781억원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수신의 경우 예금은행, 비은행금융기관 모두 증가폭이 확대됐는데 예금은행의 경우 요구불예금이 5월 -349억원에서 6월 1494억원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저축성 예금은 5월 2994억원에서 6월 1768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지역별로 포항(+2,417억원)은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경주(+175억원)는 증가폭이 축소됐다.

여신의 경우 예금은행은 5월 -695억원에서 6월 -589억원으로 감소폭이 축소됐으며 비은행금융기관은 433억원에서 1369억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예금은행 여신은 가계대출의 감소폭이 -577억원에서 -191억원으로 축소된 반면 기업대출은 -134억원에서 -326억원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의 감소폭이 -340억원에서 -305억원으로 축소됐으며 기타가계대출은 증가세로 전환했다.

기업대출의 경우 대기업대출, 중소기업대출 모두 감소폭이 확대됐다.

대기업대출은 -24억원에서 -48억원으로, 중소기업대출은 -110억원에서 -278억원으로 감소폭이 늘어났다.

지역별로 포항이 -448억원에서 -712억원으로 감소폭이 확대됐으며 경주는 -270억원에서 +135억원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 수신, 여신 모두 증가폭 확대됐는데 수신(+323억원 → +1,066억원)의 경우 상호금융의 증가폭이 675억원에서 833억원으로 확대됐으며 은행신탁은 -8억원에서 4억원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역별로 경주-402억원에서 +90억원으로 증가 전환했으며 포항465억원에서 +564억원, 울진135억원에서 +273억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여신(+433억원 → +1,369억원)의 경우 새마을금고 등이 증가 전환했으며 상호금융은 증가폭이 확대됐다.

지역별로는 포항이 -33억원에서 +705억원으로 증가 전환했으며 영덕(+308억원), 울진(+189억원) 등은 증가폭이 확대됐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