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일자리 부족으로 타지역으로 떠나
국민의 힘 류성걸의원 처음 230만대 추락
95년이후 처음으로 인구감소
247만명에서 239만명으로 감소

인구감소에서 한걸음 비켜가 있던 대도시인 대구광역시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비상이 걸렸다.

대구시 인구 감소는 처음이다. 대구시 인구 감소는 청년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타지역 유출이 심화된 것이 주 원인으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류성걸 의원(대구 동구갑)은 5일 “대구 인구가 1995년 이후 처음으로 230만명대로 추락했다”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 의원이 밝힌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대구 인구는 1년 전보다 3만308명이 감소한 239만7천646명으로 집계됐다.

대구 인구가 240만명 아래로 내려온 것은 1995년 달성군이 대구에 편입된 후 처음이다.

1994년 234만2천680명이던 대구 인구는 1995년 247만8천589명으로 늘었었다.

이후 2003년 역대 최대인 252만9천544명을 기록한 뒤 지속해서 줄고 있다.

대구의 인구 감소는 저출산에 따른 자연 감소보다 타지역으로의 이동이 더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에서 4월까지 대구에서 출생보다 사망인구가 많아 줄어든 인구는 총 1천56명이나, 이주 등으로 떠난 순 유출 인구는 9천800명에 달했다.

류 의원은 “최근 5년간 대구의 순 유출 인구통계를 보면 대학 졸업 연령대인 25∼29세 인구의 유출이 23.9%로 가장 많다”며 “청년 일자리 부족이 인구감소의 첫째 원인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자리를 증가시켜 젊은이들에게 대구의 긍정적인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대구에서 정착하고, 혼인과 출산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