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수신 3천492억원 감소로 전환해
반면 여신은 2조9428억원 증가해 직전월 대비 9012억원 증가
동해안, 구미 주요지역도 악화

ⓒ윤주희 기자

대구·경북지역의 지난 4월 금융기관 수·여신 동향이 지난 3월에 이어 두 달간 연속해서 악화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대구경북본부가 지난 22일 발표한 ‘4월 금융기관 수신 및 여신 동향’에 따르면 대구·경북 수신은 직전월 대비 3492억원 감소해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전환했지만, 여신은 2조9428억원 증가해 직전월 증가폭보다 높은 상승세를 보이며 수·여신 동향의 악화를 보였다.

또 지난 4월 대구·경북의 총 수신액은 228조5711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총 여신액은 213조5419억원으로 집계돼 올해 수신대비 가장 높은 여신 비중을 기록했다.

대구·경북의 4월 은행별 총 수신액은 예금은행이 101조8945억원, 비은행기관이 126억6766억원으로 집계됐다.

특이하게 대구·경북지역의 지난 4월 예금은행의 수신은 직전월 3382억원 감소폭 대비 줄어든 2691억원 감소로 나타났지만, 비은행기관의 수신은 직전월 8022억원의 증가폭에서 801억원 감소로 전환해 비은행권의 수신액이 크게 감소한 양상을 보였다.

대구경북의 4월 은행별 총 여신액은 예금은행이 직전월 대비 1조6247억원 증가한 141조855억원을 기록했으며, 비은행기관은 직전월대비 1조3181억원 증가한 72조4564억원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북의 중요 공단이 위치하고 있는 경북동해안지역(포항, 경주, 영덕, 울진, 울릉도)과 구미지역에서도 금융기관의 수·여신 동향도 대구·경북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악화된 모습을 보였다.

경북동해안 4월 금융기관의 수신은 3299억원 증가폭을 기록해 양호한 수신동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직전월 3882억원의 증가폭 대비 583억원, 15.01% 감소한 수신 동향을 보여 아쉬움을 보였다.

경북동해안지역 금융기관의 4월 여신액은 수신액의 증가폭 보다 높은 3406억원 기록하며 직전월 1659억원의 증가폭 대비 1747억원, 105%나 증가해 수·여신의 동향의 악화를 보였다.

경북동해안지역의 금융기관의 총 수신액은 32조2024억원으로 총 여신액 28조6647억원으로 집계됐다.

구미의 예금은행 수신도 지난 4월 680억원 감소한 수치를 기록해 직전월 102억원 감소폭 대비 578억원 증가했으며, 예금은행의 여신은 1325억원 증가해 직전월 361억원의 감소 대비 1686억원 증가한 수치 기록해 경북 내 여타 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구미지역의 지난 4월 예금은행 총 수신액은 6조6818억원으로 대구·경북지역의 예금은행 전체 수신액 102억원의 중 6.6%를 차지했으며, 예금은행 여신액은 10조9199억원으로 대구·경북 전체 여신 141조원 중 약 7.7%를 차지해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