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S, 신한울 원전의 현장 상황 재확인
KINS 보고서 토대로 내달 9일 안건 재상정 논의...운영허가 결론은 미지수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가 결론을 유보한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운영허가 안건을 내달 9일 다시 상정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원안위 관계자는 “지난 11일 회의에서 한 달뒤 재상정으로 결론지어 7월 9일 정도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원안위는 지난 11일 “한수원이 원안위에 제출한 심사 서류에 오류가 발견돼 이를 수정·보완하기 위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며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영허가 안건의 결론을 유보했다.

한수원이 제출한 서류 가운데 ‘최종 안전성 분석 보고서’ 77건의 내용이 실제 신한울 원전의 현장 상황과 다른 것으로 확인돼, KINS가 이 부분을 다시 들여다보기로 한 것이다.

원안위는 3주 정도의 추가 조사 결과를 반영한 보고서를 다시 심사해 신한울 1호기의 운영허가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원안위는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추가적인 검토(조사) 등을 거친 후 종합적으로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내달 9일을 재상정일로 잡고 그때까지 KINS의 추가 조사를 완료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오는 25일 회의에도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안건이 올라가지만 지난 11일 회의에서 제기된 기타 수정·보완 사항에 대한 심사만 먼저 이뤄지는 만큼 운영허가 여부는 내달 9일 심사가 확정적이다.

하지만 신한울 1호기의 운영허가를 이날 결론지을 지는 미지수다. 원안위는 신한울 1호기와 관련해, 안건 상정 이전에 이뤄지는 절차인 운영허가 심사 보고를 총 12차례나 받았다.

신고리 4호기와 신월성 2호기의 보고 횟수는 각각 8차례, 6차례인데 비해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하지만 일부 원안위 위원들이 제기한 ‘피동 촉매형 수소 재결합기(PAR)’의 안전성 문제와 항공기 재해 위험 논란이 여전히 남아있어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의 결론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완공된 지 1년이 넘은 신한울 1호기의 운영허가를 둘러싼 논란이 쉽게 결론이 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 신한울 3, 4호기 공사가 중단된 울진군 지역에서는 원안위의 조속한 결정을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