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올해 수출 악화 전망…호전 전망은 33%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수출기업 10곳 중 4곳은 올해 신종 코로나19의 불확실성으로 수출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호전될 것이란 전망은 3곳에 그쳤다.
5일 구미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국가산단 내 57개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2021년 수출전망과 경영계획 수립 환율조사'를 한 결과 수출 전망은 악화 40.4%, 호전 33.4%, 작년과 비슷 26.2%로 나타났다.
지난해 구미산단 수출실적은 상반기 중 일시적으로 급감했다가 7월부터 회복세를 보여 잠정 247억 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는 수출악화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수요 위축(53.8%)이 가장 컸으며, 이어 환율 변동 폭 심화(15.4%), 유가·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단가 증가(11.5%), 후발국의 기술추격 심화(7.7%), 통상분쟁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3.8%) 순이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업은 반도체 산업 호황에 힘입어 35.7%가 호전될 것으로 내다봤고, 21.4%는 악화, 42.9%는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계·장비업의 경우에는 55.6%가 악화, 11.1%는 호전, 33.3%는 불변으로 예상했고 화학·섬유업은 46.7%가 악화, 40%는 호전, 13.3%는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원사·직물업에서 악화 전망이 우세하지만 필름, 타이어코드, 아라미드 등 첨단소재 분야에서 호전 전망이 우세했다.
김달호 구미상의 부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기업활동에 제약이 큰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지속해서 하락해 수출경쟁력이 크게 약화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 정책이 필요하며, 업체들은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수출보험이나 환변동보험에 가입하길 권장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