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새 20·30대 임질 1.3배↑, 클라미디아 3.5배↑ ... 1개월 1∼2회 성생활 노인 28.5%… 80대도 13.4%
하지만 이런 우려와 달리 공원을 찾는 노인들의 성병 유병률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요즘 들어서는 노인보다는 10대 후반부터 20·30대 젊은 층의 성병이 급증하는 추세여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노인 28.5%, 1개월에 1∼2회 성관계…성병 감염률은 낮은 편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비뇨기과 이승주 교수팀이 비뇨기과학 국제학술지(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도심 공원에서 성매매에 노출된 적이 있는 60∼91세 노인 139명을 대상으로 소변검사(PCR)를 시행한 결과 1명(0.7%)에서만 성병균(Mycoplasma Genitalium)이 검출됐다.
이는 성매매에 노출된 적이 없는 같은 연령대의 대조군 노인 208명 중 1명(0.4%)에서 성병균(Chlamydia trachomatis)이 검출된 것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
물론 공원을 찾는 노인들은 성매매에 의한 성병 감염 우려가 큰 편이었다. 공원에서 연구팀의 인터뷰에 응한 남성 노인 56명 중 성관계 파트너가 2명 이상인 경우는 17명(30.3%)에 달했다. 반면 대조군 남성 노인에서는 이런 비율이 9.1%(8명)에 머물렀다.
이번 조사에서는 노인들의 활발한 성생활도 확인됐다.
조사에 참여한 노인 337명 중 28.5%가 1개월에 1∼2회 성생활을 한다고 답했고, 6.2%는 3개월에 1∼2회라고 응답했다. 주목되는 건 81세 이상 고령층 52명 중에서도 1개월에 1∼2회 성생활을 하는 비율이 13.4%(7명)로 낮지 않았다는 점이다.
◇ 전체 성병 유병률 급증…8년새 임질 1.3배↑, 클리미디아 3.5배↑
노인들의 이런 추세와 달리 우리나라에서 성병은 전체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통계를 보면, 대표적인 성병인 임질의 경우 2010년만 해도 신고 건수가 1천816건에 그쳤지만 2018년에는 2천361건으로 1.3배 증가했다. 또 다른 성병인 클라미디아는 2010년 2천984건에서 2018년 1만606건으로 3.55배나 급증했다.
이들 성병은 20∼30대 젊은 층에서 유병률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지난해의 경우 임질은 20대, 30대 유병률이 각각 전체의 40.3%, 25.6%를 차지했다. 클라미디아도 20대, 30대가 각각 49.1%, 23.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같은 해 60세 이상 노인들의 성병 유병률은 각각 임질 2.1%, 클리미디아 1.4%였다. 8년 전에 견줘 1% 남짓 증가했지만, 급격한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평균 유병률은 늘지 않은 셈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성병 증가세는 성 매개 감염 치료에 드는 1인당 평균 요양급여비용에서도 확인된다.
연구팀이 2010∼2017년 사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임질은 2010년 1인당 평균 요양급여비용이 3만9천원에 머물렀지만 2017년에는 8만3천원으로 두배 이상(109.3%) 급증했다.
클라미디아 역시 2010년 1인당 3만4천원에서 5만8천원으로 72.8% 증가했다. 조기매독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는데, 2010년 1인당 6만원에서 2017년에는 1인당 10만7천원으로 77.6% 늘었다.
연구팀은 이처럼 성병에 대한 요양급여비용이 급증하는 원인으로 10대 후반, 20∼30대 젊은 층의 성병 유병률 증가와 더불어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성병균의 내성 문제를 꼽았다.
◇ 성병, 예방이 최선…"감염돼도 치료 두려워 말아야"
성병은 조기 치료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이다.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성매개 감시체계를 운영 중인 전문의들은 성병에 걸리기 쉬운 조건으로 ▲ 1년 평균 2명 이상의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진 사람 ▲ 평생 3명 이상의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진 사람 ▲ 콘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사람 ▲ 생식기 증상이 있거나 성병에 걸린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진 사람 ▲ 매춘부와 관계를 가진 사람 ▲ 과거 성병 증상을 경험하거나 성병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 ▲ 최근에 새로운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진 사람 ▲ 아주 어릴 적부터 성관계를 시작한 사람 ▲ 평생 한 번도 성병 검사를 받아보지 않은 사람을 꼽는다.
또 성적으로 왕성한 사람이라면 ▲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 성병 검사를 할 것 ▲ 의심증상을 알아두고, 증상이 가볍게라도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을 것 ▲ 생리 중에는 HIV(에이즈) 감염 전파력과 감수성이 더 커지는 만큼 성관계를 피할 것 ▲ 항문 성교를 피하고 콘돔을 쓸 것 ▲ 질 내의 정상 세균총을 제거해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 능력을 떨어뜨리는 질 세척을 하지 말 것 등을 권고한다.
이미 성병으로 진단받은 사람들도 알아야 할 수칙이 있다.
▲ 최근 성관계를 가졌던 모든 파트너에게 알리고, 그들도 성병 감염 여부를 확인해보도록 권할 것 ▲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을 끝까지 먹고, 성병이 완벽히 치료됐는지 반드시 확인할 것 ▲ 성병으로 치료받는 동안에는 모든 성적 활동을 중단할 것 ▲ 산모의 경우 영아에게 옮길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반드시 치료할 것 ▲ 모유 수유로 성병이 전파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료진과 상담 후 일반 분유 대체 여부를 결정할 것 등이다.
성빈센트병원 비뇨기과 이승주 교수는 "최근 들어 성병 조사가 노년층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오히려 그사이 젊은 층에서 성병이 급증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대책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 교수는 "일반인들은 성병에 걸렸을 때 너무 놀라거나 어쩔 줄 몰라서 도움을 청하거나 정보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하지만 대부분의 성병은 조기에 치료하거나 성 파트너와 같이 치료할수록 더 쉽게 치료되는 만큼 치료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