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최근 10년 사망자 88%가 하청…“위험의 외주화 구조적 문제”
2016~2025년 57명 사망·32명 부상…노후 설비·파견 구조 지적...노동계 “불법파견 중단·전면 진단 필요”…연이은 사고에 안전관리 도마 위
2025-11-24 강신윤 기자
반복되는 중대 사고 속에 포스코의 안전관리 체계가 구조적으로 취약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5년까지 포스코 사업장에서 54건의 중대 인명사고가 발생, 이로 인해 57명이 숨지고 32명이 부상했다.
이 가운데 포스코 직접 고용 노동자는 7명에 불과하고 50명(87.7%)이 하청·외주·계열사 소속으로 파악됐다.
특히 2016년(12명), 2018년(7명), 2022년(5명), 2025년(5명)은 사망자 전원이 하청·외주 근로자였다. 위험 작업이 외주 인력에 집중되며 중대 사고 위험도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는 것이 노동계 주장이다.
올해 들어서도 크고 작은 사고가 계속 이어졌다.
지난 3월 21일 포항제철소 냉연공장에서 포스코 자회사(포스코PR테크) 직원이 설비 수리 작업 중 끼임 사고로 사망했고 7월 14일에는 광양제철소 배관 철거 작업 중 추락사고로 1명 사망·1명 부상, 지난 20일은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 슬러지 청소 중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포스코 직원 1명 유해가스 중독으로 중태에 빠졌다.
이 과정에서 현장에 출동한 포스코 자체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유해가스를 흡입해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24일 포스코 본사 앞 기자회견에서 최근 사고를 두고 “기본적인 가스 측정 장비 지급, 보호구 착용지침조차 지켜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고가 반복되는 핵심 구조로 “포스코가 소유·운영하는 설비에서 도급 인력이 작업하는 구조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위험 설비는 직접 관리해야 하는데 외주 인력이 현장 작업을 맡으면서 안전 책임이 파편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신명균 금속노조 포항지부장은 “포스코는 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불법파견을 즉시 중단하고, 모든 외주 노동자를 직접 고용해야 한다”며 “제철소의 노후 설비·배관 전면 진단과 구조 개선 계획을 마련·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최근 수년간 안전투자를 확대해왔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중대 사고는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금속·화학 공정 특성상 위험요인이 상존하는 데다, ▲노후 설비 ▲긴 외주 체계 ▲24시간 가동 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고를 시스템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산업 구조 때문이다.
노동계의 지적처럼 하청·외주 비중이 높은 구조에서는 책임소재 불명확, 교육·감독 공백, 안전장비 지급 차이 등이 발생하기 쉽다.
실제로 포스코 사고 통계에서 직영보다 하청 사망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점은 구조적 문제를 방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포스코의 안전관리 체계를 단위 사업장 차원이 아니라 그룹 차원의 ‘통합 안전 플랫폼’으로 재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비정형 공정이 많은 제철·제강 공정 특성상, AI·IoT 기반 실시간 위험 모니터링과 자동 차단 장치 확대 등 설비 중심의 안전 전략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