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포항남울릉지역위,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포항 지정 환영

재직자·실업자·자영업자 지원 확대… 산업구조 전환의 ‘기점’ 기대.... 철강 침체 돌파 계기 되나

2025-11-19     강신윤 기자
포항이 고용노동부로부터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신규 지정되면서, 장기 침체 국면에 빠졌던 지역 고용시장에 반전 기회를 맞게 됐다.

철강·석유화학 중심 산업의 부진이 심화되고 글로벌 공급망 불안, 내수 둔화까지 겹치면서 고용 충격이 확대되자 정부가 지역 회복을 위한 공식 지원체계를 가동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포항남울릉지역위원회는 19일 논평을 통해 “이번 지정은 포항의 산업·고용환경 위기를 정부가 명확히 인정한 것”이라며 “지역 경제 재도약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포항 경제는 수년간 철강산업 침체의 직격탄을 맞아 왔다.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 탄소중립 가속화, 전기로 전환 압력 등 구조적 요인에 더해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면서 지역 제조업의 수익성·가동률이 동반 하락했다. 지역 고용시장도 크게 위축되며 실업·자영업 부진이 동시에 심화됐다.

이번 지정으로 포항은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즉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재직자와 실업자,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단가 상향, 생활안정자금 확대, 국민내일배움카드 한도 상향,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기회 확대 등이 적용된다.

사업주에게는 고용유지지원금, 단축근로 지원 등이 지급돼 기업의 인력 유지 부담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포항남울릉지역위는 “포항 산업계 전반의 고용 충격 완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지정 기간이 최대 6개월인 만큼, 단기 지원을 넘어 지역 산업 전환과 일자리 재구조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도 비슷한 진단을 내놓는다. 철강 중심 산업구조의 경직성이 장기 불황 시 지역경제에 큰 충격을 주는 만큼, 정부·지자체의 지원이 AI·배터리·수소·바이오·그린에너지 등 신산업 육성 전략과 연계돼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포항 영일만강소특구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포스텍 등 기존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신규 투자·기술전환·고용재편을 동시 추진하는 구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포항시남구울릉군지역위원회는 “포항시·경북도·중앙정부가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지정 기간 내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해야 한다”며 “지역 산업 전환 과정에서 소외되는 계층 없이 촘촘한 고용·복지 지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