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일 시의원, “양학동 교통은 이미 ‘붕괴 직전’…포항시, 용역만 하고 손 놓았다”

“도로 없이 아파트만 짓는 도시…‘도시계획 부재’가 만든 포항의 교통재난”

2025-11-17     강신윤 기자
포항 도심 북서권의 교통 혼잡이 신규 공동주택 급증과 도시계획 부재로 한계에 직면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양학동 일대는 2,600여 세대의 대단지 아파트가 순차 입주하면서 차량 통행량이 이미 하루 2만 대를 넘어섰으나, 포항시의 대응은 “용역만 하고 후속 조치가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7일 포항시의회 제326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에 나선 국민의힘 김상일 의원(죽도·중앙·양학)은 “양학동의 교통 문제는 더 이상 불편의 수준이 아니라 안전사고 위험으로 직결되는 심각 단계”라며 “포항시는 도시교통 정책의 구조적 한계를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학동은 도시광역도로가 아닌 단일 생활도로인 ‘양학로’에 교통이 집중되는 구조인데, 대부분이 기존 중소형 주택지를 기반으로 조성된 2차선 도로여서 증가하는 차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김 의원은 “출퇴근 시간에는 신호 한 번에 50m도 이동하기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학시장 일대는 좁은 도로 폭과 불법주정차가 겹치며 정체가 극심하고, 전통시장·학교·병원이 모여 있어 보행안전도 취약한 것으로 꼽힌다.

포항시는 뒤늦게 2023년부터 ‘양학동권역 종합교통대책’ 용역을 실시해 4개 대체도로 확충과 교차로 개선, 버스노선 조정 등을 제안했지만, 지금까지 단 한 건의 사업도 착수되지 않았다.

김 의원은 “1억5천만원 용역이 보고서로 끝났고 행정은 서랍 속에 멈춰 있다”며 “교통 대책은 문서가 아니라 도로 위에서 결과로 증명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문제의 원인을 “도시계획 없는 도시확장”으로 규정했다. 초곡·우현·창포·장성 등 신규 아파트가 몰린 포항 주요 권역 모두 교통 인프라 확충 없이 단지 개발만 먼저 이뤄졌다는 것이다.

그는 “개발 먼저, 대책은 나중이라는 구태가 반복되면서 도심 교통은 막히고, 신도심은 난개발이 가속되는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개선을 위해 두 가지를 요구했다. 첫째, 양학동 종합교통대책 후속 사업의 즉각적 착수다. 그는 “2023년 용역안을 재검토해 내년 예산에 도로 확장, 회전교차로 설치, 신호체계 개선 등 우선순위 사업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둘째, “교통대책 없는 주택사업 인허가 금지” 원칙 확립을 요청했다. 대규모 공동주택 개발 시 예상 교통량을 고려한 도로 개선·대중교통 조정·교차로 확충 등을 사전에 의무화하고, 현실적으로 도로 확보가 어려운 경우 사업자에게 대안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양학동 교통난은 한 지역 민원이 아니라 포항 도시계획의 방향과 행정의 대응 속도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며 “시민의 불편과 희생 위의 개발은 진정한 발전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주택보다 도로가 먼저, 인허가보다 시민 생활이 먼저라는 원칙이 지켜질 때 포항은 품격 있는 도시가 될 수 있다”며 “의회는 실질적인 교통 대책 마련을 위해 끝까지 점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