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79.8로 하락… 대구는 상승, 경북은 보합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79.8로 하락… 수도권 낙폭 ‘뚝’, 지방도 동반 주춤

2025-11-12     김수정
▲ 025년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9.8로 집계되어 전월(87.7)대비 7.9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주택산업연구원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빠르게 식고 있다. 2025년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9.8로 집계됐다. 전월(87.7) 대비 7.9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높을수록 입주여건이 좋다는 의미인데, 두 달 연속 하락세다. 낙폭이 가장 큰 곳은 수도권이다. 수도권 지수는 92.7 → 75.6으로 무려 17.1p 급락했다.

지방 역시 86.6 → 80.7(-5.9p)로 하락하며 투자심리 위축이 확산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의 이번 조사 기간(10월 20~29일) 직전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 대책이 시장 분위기를 뒤흔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소유권 이전 당일 전세자금대출 금지, 주택구입 목적 LTV 규제 강화 등이 겹치면서 신축 아파트 입주 수요가 빠르게 얼어붙었다.

수도권의 하락 폭 가장 심했다. 서울·경기 모두 두 자릿수로 하락했다. 수도권은 전 지역에서 동반 후퇴한 것이다. 서울은 100.0에서 85.2(-14.8p), 인천은 84.0에서 72.0(-12.0p), 경기 또한 94.1에서 69.6(-24.5p)로 하락했다.

규제지역이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시·군으로 확대되면서 잔금·대출 부담이 증가했고, 투자 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자의 심리까지 급속히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광역시는 지역별0 상승과 하락이 극명하게 갈렸다. 부산은 84.2에서 88.8(+4.6p) 상승했고, 대구도 그 뒤를 이어 75.0에서 80.9(+5.9p)로 상승했다. 대전은 100.0에서 100.0으로 보합한 반면, 울산은 88.2에서 66.6(-21.6p)로 하락했고, 광주도 78.5에서 75.0(-3.5p)로 하락했다. 세종은 108.3에서 91.6(-16.7p)로 큰 폭으로 떨어졌다.

세종의 하락은 ‘똘똘한 한 채’ 선호 강화, 규제 민감도 증가의 특징이 두드러진 결과로 해석된다.

도지역은 경남(85.7 → 92.8, +7.1p), 전북(81.8 → 87.5, +5.7p)이 상승했지만, 충북 88.8에서 62.5(-26.3p), 제주 75.0 에서 60.0(-15.0p), 강원 87.5에서 75.0(-12.5p), 전남 77.7에서 66.6(-11.1p)으로 광범위한 하락이 나타났다.

산업 기반이 약해 외지 투자 비중이 높았던 지역일수록 대출 규제의 충격을 크게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는 오랜만에 뚜렷한 반등을 기록했다. 대구 입주전망지수는 75.0에서 80.9로 5.9p 상승했다. 대구시는 2023년 신규 주택건설사업 승인 전면 보류 조치를 취하면서 준공 후 미분양이 4개월째 감소하는 중이다. 여기에 동구·수성구 등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와 가격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어, 수도권 규제의 ‘풍선효과’를 일정 부분 흡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경북은 91.6에서 91.6으로 보합을 유지했다. 상승도 하락도 없었지만, 지방 전체가 일제히 떨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탄탄한 흐름을 지켰다.

경북 역시 공급 과잉이 과거보다 완화되고, 포항·구미 등 산업도시의 실거주 수요가 유지되면서 지수를 방어한 것으로 보인다. 투자성 수요가 빠질 때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큰 지역들이 많은 가운데, 경북은 시장 충격이 제한적이었다고 분석된다.

입주전망뿐 아니라 실제 입주율도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9월 71.2%에서 10월 64.0%로 7.2p 하락했다. 수도권은 대책 시행 이전 물량이 반영돼 82.9%에서 85.9%(+3.0p)로 오히려 상승했지만, 규제가 본격화되면 하락 전환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지방은 모두 감소했다. 광역시는 67.4%에서 59.9%(-7.5p), 도지역도 69.6%에서58.9%(-10.7p), 대구·부산·경상권 역시 68.8%에서 63.8%(-5.0p)로 감소했다.

미입주 사유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40%), 잔금대출 미확보(30%), 세입자 미확보(20%) 순으로 나타났다.

금번 규제 확대 이후 잔금 마련 어려운 실수요자 부담이 급증해, 일부 지역에선 계약 포기·연체 가능성까지 우려된다고 지적 되는 시점이다.

또한 서울의 상승세가 크게 둔화됐지만 가격 자체는 여전히 상승 중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정책 효과의 지속성과 실효성 점검의 필요성이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