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계층상승 어렵다”… 소비·소득 전망은 개선

국가데이터처 2025 사회조사… 노후준비율 71.5%로 역대 최고

2025-11-11     강신윤 기자
▲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입니다. ⓒ영남경제 자료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이 계층상승 가능성을 낮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기 회복 기대와 소득·소비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인식이 확대되며 온도차도 두드러졌다.

국가데이터처가 11일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인구의 57.7%는 본인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향후 상승할 가능성을 낮다고 평가했다.

이는 2년 전보다 1.9%포인트 낮아진 수치지만 여전히 다수 응답자가 계층 이동을 어렵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계층상승 가능성을 높게 본 응답은 29.1%로 2.7%포인트 상승하며 다소 개선된 흐름을 보였다.

자녀 세대의 계층상승 전망 역시 비관론이 우세했다. ‘낮다’는 응답이 54.1%로 ‘높다’(29.9%)보다 크게 앞섰다.

계층별 차이도 뚜렷했다. 자신을 상층이라 평가한 응답자의 45.2%는 자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봤지만, 중층은 33.7%, 하층은 21.6%로 계층별 인식 격차가 컸다.

한편 국민 61.6%는 자신의 계층을 ‘중층’으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하층은 34.6%, 상층은 3.8%에 불과해 전반적으로 중산층 자기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눈에 띈다. 가구주의 27.0%는 내년 재정상태가 개선될 것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1년 전 대비 소득이 증가한 가구는 21.5%였고, 가구부채가 늘었다는 응답은 17.7%로 2년 전보다 3.2%포인트 감소했다.

생활여건이 좋아졌다는 응답은 40%로 0.9%포인트 증가했고, 가구 소득수준에 여유가 있다는 응답은 15.6%로 1.9%포인트 늘어났다.

소비생활 만족도도 상승했다. 의식주·여가·취미생활을 포함한 소비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24.6%로 3.4%포인트 늘었다. 특히 19~29세(31.5%)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40대 이상에서는 불만족 응답이 더 많았다.

재정이 악화할 경우 가장 먼저 줄일 항목으로는 외식비(67.2%)가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의류비(43.1%), 식료품비(40.4%), 문화·여가비(39.6%) 순이었다.

반면 교육비는 6.1%로 가장 낮아 “교육비만큼은 지킨다”는 소비 성향이 유지된 것으로 분석된다.

사회보험료 부담은 여전히 높았다. 국민연금(58.4%), 건강보험(55.3%) 모두 절반 이상이 부담된다고 답했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71.5%로 2011년 이후 가장 높았다. 준비 수단은 국민연금(58.5%)이 단연 1위였고, 예적금(16.9%), 직역연금(8.1%), 사적연금(5.0%)이 뒤를 이었다.

필요한 사회적 지원으로는 노후소득지원(34.2%)과 의료·요양보호서비스(30.6%)가 가장 많았다. 50대 이하는 소득지원을, 60대 이상은 의료·요양 서비스를 더 선호했다. 노후에 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취미활동(42.4%), 여행·관광(28.5%)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현실은 다소 다르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34.4%는 노후에도 소득 창출 활동을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취미활동(32.2%)보다 높았다.

생활비 마련 방식은 ‘본인·배우자 부담’이 79.7%로 압도적이었다. 자녀·친척 지원은 10.3%, 정부나 사회단체는 10%에 그쳤다.

고령자 10명 중 7명(72.1%)은 자녀와 따로 산다고 답했다. 독립생활이 가능하다는 이유(34.6%)와 따로 사는 것이 편하다는 이유(34%)가 가장 많았다.

장례 방식은 ‘화장 후 봉안시설’이 36.5%로 가장 선호됐고, 매장(6.8%)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5년(12.6%)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