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만만치 않다”… 가격 경쟁력 확보 최대 난제
열연 유통가 톤당 약 75만원… 수소환원제철 적용 땐 150만원...철강 탈탄소 전환 현실화 속도전… “정부·산업 공동 인프라 必”
포스코가 탄소중립 철강기술인 수소환원제철 상용화를 앞두고 가장 큰 난제로 ‘가격 경쟁력’을 지목했다.
친환경 전환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수소 가격이 현 수준에서 유지될 경우 철강 가격이 두 배로 뛸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수용성과 정책 지원의 절묘한 균형이 관건으로 떠올랐다.
조명종 포스코 미래철강연구소 소장은 5일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이 개최한 ‘수소경제 재도약을 위한 R&D·정책 방향’ 간담회에서 “현재 열연 유통가는 톤당 약 75만원 수준으로, 이 중 석탄 원료비가 20만원, 가공비가 55만원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소환원제철을 적용하면 석탄 대신 수소 원료비만 톤당 100만원이 들기 때문에, 열연 가격이 톤당 150만원을 넘게 된다”며 “과연 고객사가 그 가격을 감당할 수 있을지 냉정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즉, 석탄 기반 제철공정에서 수소 방식으로 완전히 전환할 경우 제품 판매가격이 두 배 가까이 상승할 수 있다는 현실적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한 것이다.
조 소장은 “수소환원제철은 기술적 진전뿐 아니라 경제성 확보가 병행돼야 한다”며 “고객의 구매 여력과 시장 수용성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이슈”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지난 2022년 하이렉스(HyREX) 기술 로드맵을 발표하며, 100% 수소 직환원 기술 개발을 선언했다.
조 소장은 이날 “연산 30만 톤급 수소환원제철 실증플랜트를 2030년까지 구축하고 검증할 예정”이라며 “2032년까지 연산 250만 톤급 상용플랜트 확장을 위한 스케일업 기술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세계 최초의 대규모 수소환원제철 전환 프로젝트로, 글로벌 철강업계의 눈이 포스코에 쏠린 이유다.
다만 기술 로드맵과 별개로 수소 공급 인프라와 가격 경쟁력 문제는 여전히 걸림돌로 남아 있다.
조 소장은 “수소 가격이 철강 제품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며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독 투자만으로는 어려운 만큼, 산업계·정부가 함께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요청했다.
실제로 포스코그룹은 포항·광양에 수소 연계 제철 생태계 구축을 추진 중이며, 국가 산업단지와 연계한 수소 공급망·운송망 논의도 확산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은 세계 철강업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동시에 뛰어든 과제다. 유럽 철강사들은 이미 소규모 수소 제철 파일럿을 가동하고 있으나, 고가의 수소 조달 및 전력 비용 때문에 상용화는 답보 상태다.
한국의 경우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공급과 그린수소 생산·운송 체계 구축이 향후 승부처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청정수소 인증제, 수소 인프라 투자, 탄소국경조정(CBAM) 대응 정책이 맞물려야 국내 철강 경쟁력 유지가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포항·광양을 중심으로 한 한국 철강 밸류체인도 전환기를 맞고 있다.
지역 산업계는 향후 대규모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경우 생산·저장·운송 인프라 구축이 지역 경제의 새 성장축이 될 것으로 기대하지만, 초기 비용과 정책 방향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조 소장은 “포스코는 기술·실증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수소 생태계 조성과 산업계 공동 대응이 병행된다면, 철강 탈탄소 전환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