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이한준 사장 "직접 시행은 '땅장사' 오명 벗어날 계기“

"공공 디벨로퍼 우수 인재 확보 가장 중요… 지역인재할당제 범위 넓혀야“

2025-10-14     김수정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이한준 사장은 14일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LH가 직접 시행으로 (땅장사)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결과적으로 LH가 여러 가지 역량이 부족해 오명을 쓴 것에 대해서는 기관장으로서 상당히 송구스럽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지난 9·7 주택 공급 대책에서 그동안 LH가 공공택지를 민간에 매각해 주택을 공급하던 방식을 중단하고, 앞으로 LH가 직접 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장은 "'교차보전' 구조가 이제는 무너지게 됐다"며 "LH가 땅장사 했다는 오명으로 임직원들의 사기가 상당히 저하됐는데, 이것은 LH가 하고 싶어 한 것은 아니다. 법에 그렇게 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교차보전은 LH가 아파트 분양이나 택지 개발 사업에서 얻은 이익으로 공공임대주택 사업의 손실을 충당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교차보전 구조가 무너지면서 2029년까지의 LH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상 토지 매각으로 회수할 것으로 기대했던 15조원을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이 사장은 내다봤다.

이 사장은 "토지 매각이 안 되니까 자체적인 수익 구조가 없어졌다"며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LH 개혁위원회와 중장기적인 재무 안정 방안을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재무 구조라든지 인력 충원 문제도 LH 개혁위에서 다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 사장은 LH가 공공 시행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인력 충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또 “LH가 공공 디벨로퍼로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 인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인력 충원 제도의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현재의 지역인재 할당제가 문제다. 공기업들이 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지역 인재를 채용하다 보니, 일부 대학 중심으로 채용이 몰리며 공기업 단위의 카르텔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지역인재 채용 제도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적용 범위를 넓혀 보다 다양한 지역과 학교 출신 인재들이 공정하게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한준 사장은 2022년 11월 윤석열 정부 시절 LH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서 교통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홍익대학교에서 교통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도시계획 전문가로, 국토연구원 연구원과 한국교통연구원 부원장 등을 지낸 바 있는 전문가이다.

그는 취임 이후 LH의 부동산 사업 구조 개편, 공공주택 품질 개선, 투명한 조직 문화 정착 등에 집중해 왔다. 그는 임기 만료를 약 3개월 앞두고 사의를 표명했으나, 현재까지 사표는 수리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