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고령자, 1인 가구·경제활동 급증…복지·돌봄 공백 대비 시급

고령인구 비중 전국 평균 상회...농촌 고령자 등 맞춤 복지 절실

2025-10-01     김만영 기자
▲ ⓒ윤주희 기자

대구·경북 지역 고령자들의 삶이 과거와 크게 달라지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1인 가구 확대와 경제활동 참여 증가, 교육 수준 향상, 의식 변화 등 복합적인 구조 전환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령화 속도가 빠른 만큼 복지·돌봄 수요 대응 체계를 서둘러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동북지방통계청이 노인의 날(10월 2일)을 앞두고 발표한 '과거와 달라진 대구·경북 고령자 특성'에 따르면, 대구의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21.2%, 경북은 26.1%에 달했다.

전국 평균(20.3%)보다 높으며, 2052년에는 경북 49.4%, 대구 42.5%로 사실상 인구 절반이 노인인 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가구 형태 변화도 뚜렷하다. 대구의 고령자 1인 가구 비중은 2015년 32.4%에서 지난해 39.3%로, 경북은 같은 기간 37.9%에서 41.9%로 늘었다. 반면 부부·미혼자녀 동거가구는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돌봄 공백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교육 수준은 과거에 비해 눈에 띄게 향상됐다. 중졸 이하 학력 비중은 대구에서 15.4%p, 경북에서 14.6%p 줄었으며, 대졸 이상은 각각 6.3%p, 4.0%p 증가했다.

고령층이 과거와 달리 더 높은 교육 수준을 갖추면서 디지털 활용이나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가족 형태 변화도 주목된다. 대구 고령자의 이혼 건수는 2014년 207건에서 2024년 439건으로, 경북은 같은 기간 277건에서 527건으로 각각 두 배 이상 늘었다. 반면 재혼 건수는 줄었으나, 고령자 내 재혼 비중은 오히려 상승했다

이는 가족 기반 돌봄 기능 약화를 방증하는 동시에, 개인 단위 삶의 독립성이 강화되는 사회적 변화를 보여준다.

경제활동도 활발해졌다. 2024년 기준 대구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3.1%, 경북은 53.5%로 전국 평균(40.0%)을 웃돌았다.

경북은 특히 농업 종사자 비중이 50.2%에 달해 농촌 고령층의 노동 의존도가 높았다. 대구는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23.1%), 제조업(10.3%) 비중이 커 도시형 서비스·제조업 종사자가 많았다

단순노무·농림어업 숙련직이 여전히 상위 직업군을 차지했지만, 대구에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중도 늘었다.

소득 수준은 개선됐으나 여전히 지역 격차가 크다. 월 100만 원 미만 소득자는 대구에서 61.0%(2014) → 45.0%(2024), 경북에서 72.9% → 56.8%로 줄었다.

그러나 여전히 절반 이상이 200만 원 미만 소득자에 해당한다. 연금 수급률은 대구 91.8%, 경북 93.6%로 높아졌으며, 월평균 수급액도 각각 69만 원, 63만 원대로 증가했다

여가·사회활동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시청·휴식 비중이 크게 늘고, 사회활동 참여율은 감소했다. 단체 참여율은 대구가 친목·종교 중심, 경북은 사회단체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부모 부양관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 '가족만의 책임'이라는 응답은 줄고 '가족과 정부·사회 공동 책임'이라는 인식이 대구(43.5%→54.7%), 경북(33.5%→54.6%)에서 모두 크게 늘었다

삶의 만족도도 개선됐다. 경북은 2014년 29.3%에서 2024년 38.4%로 만족도가 9.1%p 상승했으며, 대구도 29.2%에서 33.4%로 늘었다. 성취 만족도 역시 대구·경북 모두 두 자릿수 개선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은 고령화 속도가 빨라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며 “1인 가구·저소득층 증가와 농촌 고령자 노동 의존도를 고려한 맞춤형 복지정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역 산업 구조와 연계된 노인 일자리 창출, 돌봄 서비스 확충, 사회적 고립 방지 프로그램이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