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산림레포츠, 산불 악재에 ‘알박기’… 시행사 리스크 논란
청송군, 경북도 입안신청 못하고 5년 동안 협의만 되풀이...비엔피디씨 임야 매입·세화산업 참여 두고 경북도 곱지 않은 시선…청송군 “출자형식 임야 매입, 알박기 아냐”…인허가 행정절차, 민원업무 등 담당
청송군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사업이 ‘산불 악재’에 이어 알박기, 시행자 리스크 등이 다시 부각되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 사업은 경북도에 현재 입안신청조차되 지 않은 상태다.
청송군은 당초 2020년 7월 경북도에 입안신청을 하고 실시계획승인을 받을 계획이었지만 5년 동안 경북도와 협의만 되풀이하고 있다.
경북도 한 관계자는 “민간사업시행자가 사전에 알박기 땅을 매입하고 SPC(특수목적법인)의 자본금이 5억원에 불과한 점, 전문성 결여 등 들어 정상적인 사업 추진이 되겠냐”고 지적하고 입안 협의에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청송군이 경북도의 인허가를 진행하고 있지만 경북도는 시행사 가운데 한 회사가 골프장 사업부지 한복판의 임야 9만여㎡를 ‘알박기’식 매입한 것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표출했다.
청송군 관계자는 “민간사업자가 사업부지 전체를 매입하는 조건의 협약이고 매입한 임야는 출자 형식이어서 알박기는 아니다”고 설명했지만 경북도의 입장과는 맞지 않아 보인다.
경북도는 이어 시행사 컨소시엄에 참여한 업체들이 자본금도 약하고 골프장 조성사업과는 거리가 있는 업체들로 구성돼 원활한 사업 추진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청송군은 지난해 7월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사업의 새 시행사로 교보증권, 비엔피디씨, 세화산업, 도화엔지니어링 등 4개 출자사 컨소시엄과 투자협약을 맺고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에 주력하기로 했다.
청송 산림레포츠 휴양단지는 파천면 신기리 일원 약 198만㎡ 부지에 민간자본 1200억원을 투입해 27홀 규모의 대중제 골프장과 관광휴양시설 등 각종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문제는 컨소시엄에 참여한 비엔피디씨 사가 2022년 1월경 골프장 예정부지 한복판의 임야 9만7161㎡를 매입한 데서 시작됐다.
비엔피디씨는 1차 사업시행자 선정 공고 직전인 지난 2022년 1월경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 산 32번지 임야 9만7161㎡를 5억원에 매입했다.
자본금 5억원의 서울 소재 이 회사는 부동산 임대매매, 건설, 개발, 주택건설 및 대지조성사업 등을 영위하는 부동산 전문 회사다. 부동산 전문 회사인 비엔피디씨가 시행사로 선정되기 전에 골프장 조성예정지 한복판의 임야를 매입한 것이다.
비엔피디씨가 임야를 매입하던 시기는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인허가 및 설계용역이 마무리되던 때로 사전정보를 입수하고 알박기 식으로 임야를 매입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경북도 관계자는 “만약 비엔피디씨가 시행사로 선정되지 않았으면 완전하게 알박기가 되는 상황이며 청송군의 골프장 사업 추진에 큰 걸림돌이 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22년 6월 사업시행자로 결정된 한림건설이 사업을 포기한 배경에 이 알박기 5만평이 원인이었다는 관측이 제기됐던 만큼 경북도의 시선이 곱지 않은 이유가 되고 있다.
컨소시업에 참여한 세화산업은 자본금 3억원의 비철금속 재생재료 가공처리, 고철,비철수집 및 가공판매, 통신기기 판매서비스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골프장 조성과 거리가 먼 업종의 세화산업이 컨소시엄에 참여한 것도 이해하기 힘들다.
이에 대해 경북도는 “컨소시엄에 참여한 회사 가운데 자금은 교보증권에서 담당하고 인허가 및 설계 등은 도화엔지니어링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비엔피디씨, 세화산업의 역할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지적을 의식한 듯 비엔피디씨와 세화산업은 지난해 9월 청송읍에 골프장업을 중심으로 하는 ㈜솔그리고를 설립했다.
이에 대해 청송군 관계자는 “비엔피디씨와 세화산업은 출자사로서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을 위한 인허가 등 행정절차와 민원업무 등을 대행하고 있다”며 “두 회사가 하는 역할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비엔피디씨는 처음부터 산림레포츠 조성사업에 큰 관심을 가졌었고 이를 위해 임야를 매입한 것으로 1차 시행사에서 탈락했을 때 임야를 다시 매각할 뜻을 밝히는 등, 알박기 의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어 “비앤피디씨는 임야 5만평을 출자형식으로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사업 법인에 귀속시킬 것”이라며 알박기를 우려하는 경북도의 시선을 달랬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관광·레포츠 개발사업은 시행사의 전문성과 자본력이 핵심인데, 이번 컨소시엄은 일부 참여사의 업종과 자본금이 취약하다”며 “추후 자금 조달과 공사 추진 과정에서 또 다른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경북도의 불신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인허가 과정이 지연되거나 사업 자체가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 만큼 청송군이 강조하는 ‘출자 형식’의 조속한 매듭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