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산림레포츠 ‘산불 악재’ 전면 재검토…상황 녹록지 않다

산림레포츠, 골프장 핵심자산 산림·녹지 불타… 사업 백지화 우려...불탄 사업부지에 원형녹지, 조경 조성 난제...청송군, 레포츠FOREST 등 지역은 연수원 유치...파크골프장 유치 등 사업계획변경...산림복구 않고 산림개발로 방향 수정

2025-09-07     강신윤 기자
ⓒ김창숙 기자

청송군이 야심차게 추진하던 ‘청송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골프장 조성사업’이 “산불 돌발 악재”로 인해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청송 산림레포츠 휴양단지는 파천면 신기리 일원 약 198만㎡ 부지에 민간자본 1200억원을 투입해 27홀 규모의 대중제 골프장과 관광휴양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그러나 올해 3월 의성 산불이 덮치면서 사업부지 상당 부분을 태우고 타격을 주면서 사업성 확보가 불투명해진 상태다.

산림레프츠와 골프장 사업의 핵심인 산림·녹지 등 자연환경자산이 소실되면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지 의문이다.

청송군은 지난해 7월 교보증권 컨소시엄을 새로운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고 120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하는 등 속도를 내는 듯 했으나 산불 악재가 터지면서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청송군은 “‘산불’로 변한 지형과 자연환경 등을 감안해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계획을 다시 수립해 경북도와 협의를 계속 이어나가겠다”고 밝혔지만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산불로 초토화되면서 사업계획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 특히 산림레포츠FOREST 등 조성사업은 울창한 산림, 녹지 등 수려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불타버린 산림은 사업 추진에 치명적이다.

골프장 조성사업 역시 불타버린 사업부지에 원형녹지를 확보하고 조경사업을 수행하려면 막대한 비용을 들여야 한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사업이 될 수도 있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청송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따르면 사업지구의 절반이 넘는 부지가 산림 녹지로 구성돼 있다.

사업지구 198만5716㎡ 가운데 24.1%인 47만7853㎡가 원형보전녹지며 골프장 중심의 체육시설용지 43.6%인 86만5486㎡가 조성 녹지 및 원형보전녹지다.

녹지지역을 제외한 골프장과 건축시설, 도로 등을 예정한 부지는 당초 녹지지역의 산림을 베어내는 토목작업 등은 산불로 수목이 다 타버려 수월해졌다고 판단될 수 있지만 불에 타버린 사업지구 67.65%, 134만3339㎡를 다시 녹지로 조성해야 된다는 큰 난관에 봉착한 것이다.

녹지로 분류된 지역에 다시 산림을 조성해야 하는 만만치 않은 숙제를 해결해야 한다.

산림전문가 A씨는 “사업지구는 식생보전등급 3등급지가 83%이고 원형보존이 최우선인 생태자연도 1등급이 약 37%, 2등급이 약 48%인 산림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이었다”며 “우수한 산림이 다 타버려 이를 복구하는데 얼마만큼의 예산이 들어갈지 판단할 수 없을 정도인데 청송군이 이를 어떻게 극복할지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덧붙여 “청송군이 야심차게 준비하고 주력 추진했던 사업인데 산불로 인해 자칫 사업이 백지화될 수 있는 위기에 처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청송군 관계자는 “산불로 인해 사업계획의 전면 수정이 불가피한 것은 사실”이라며 “경북도, 시행사와 함께 다각도로 사업 추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골프장 지역은 우수 수목의 조림을 해야 하지만 레포츠FOREST 등 지역은 연수원 유치, 파크골프장 등 산림복구보다는 산림개발로 방향을 수정했다”며 “이는 경북도에서도 권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산불특별재난지역인만큼 특별법을 통해 국비 지원 등으로 사업비가 늘어난 부분을 상쇄시키고 군의 부담을 최소화할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며 “시행사 측도 사업 추진 의지가 강한 만큼 군에서도 미래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청송군은 휴양단지 조성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지역 체류형 관광 기반이 강화돼 경제 활성화 효과가 클 것이며, 특히 골프장, 레포츠 시설, 연수원 등이 들어설 경우 관광객 유입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동반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그러나 산불 피해 복구 지연과 투자자 리스크가 겹치면 사업 추진 동력이 약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송군이 ‘산불 복구와 개발의 균형’이라는 난제를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지에 성패가 달린 셈이다.

청송군의 야심작인 산림레포츠 휴양단지가 산불이라는 돌발 변수 속에서도 재도약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