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 포항 경제 ‘직격탄’ 우려

자재·장비업체도 연쇄 타격...포항지역 주요 사업 ‘올스톱’...해오름대교 공정 진행 발목...10조원대 경제 손실 가능성

2025-08-17     강신윤 기자
▲ 경기남부경찰청과 고용노동부 관계자들이 경기도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건설공사 현장의 미얀마인 근로자 감전 사고와 관련해 12일 포스코이앤씨 인천 본사(인천 연수구) 압수수색을 위해 사옥으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

포스코이앤씨의 전국 현장이 일제히 멈추면서 협력업체와 지역경제가 거센 후폭풍에 휘말리고 있다.

분양 예정이던 아파트 단지까지 차질을 빚으면서 주택 공급 축소, 협력사 경영난, 지역경제 위축 등 악영향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가 지난해 협력·장비·용역업체 등에 지출한 외주비는 5조9550억 원에 달한다.

전년(6조2789억 원) 대비 소폭 줄었으나 여전히 6조 원 가까운 금액으로, 625곳의 협력업체와 2107곳의 등록 협력사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돼 있다.

현재 포스코이앤씨가 전국 103개 현장 공사를 중단하면서 협력업체들은 일감이 급감했다. 실제 한 용역업체 직원은 “평소 많게는 일주일에 두 번, 적게는 보름에 한 번씩 현장에 나갔는데 지금은 전혀 일이 없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업계는 “시공능력평가 국내 7위의 대형 종합건설사 공정이 멈추면 1차 협력사는 물론 2~3차 전문건설사와 자재·장비업체까지 연쇄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포항은 특히 타격이 크다. 우선 ‘해오름대교’ 건설이 발목이 잡혔다. 총연장 395m, 총사업비 784억 원 규모의 해상 교량으로, 당초 내년 6월 준공 예정이었지만 올해 11월 조기 개통을 목표로 막바지 공정이 진행되던 상황이다.

교량 상판 연결까지 마쳤지만 지난 7일부터 현장이 멈추며 개통 시점을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또 다른 대형 프로젝트인 ‘상생근린공원 민간공원특례사업 공동주택 건설’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포항시 남구 이동에 총 2667가구 아파트를 짓는 사업으로, 이 중 999가구를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한다. 그러나 공사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분양 일정 차질이 불가피하다.

2389가구의 ‘장성동 주택재개발사업’도 마찬가지다. 지난 6월 214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조달해 토지 정리 단계에 있지만, 포스코이앤씨의 시공 중단이 장기화되면 사업 진행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포스코이앤씨의 영업정지가 현실화될 경우 최대 10조 원 규모의 경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협력업체 외주비, 주택사업 지연, 금융비용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파급 효과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정부가 사업권을 박탈한다면 공사 중단을 넘어 포항 경제 전체가 흔들릴 정도의 충격이 불가피하다”며 “25일까지 전수조사 결과가 나와 일부라도 공사가 재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이앤씨의 공사 중단은 단순히 건설 현장의 문제가 아니라, 포항 지역 제조·서비스업 전반으로 번질 수 있는 위기로 평가된다.

지역 상권은 건설 근로자의 소비에 상당 부분 의존해 왔으며, 주택공급 차질은 장기적으로 인구 유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포스코·현대제철 구조조정에 이어 포스코이앤씨까지 멈추면 포항은 ‘산업 공동화’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산업 다변화와 고용 안정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