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5개년 계획, 대구·경북 균형성장·산업혁신 과제 대거 포함

대구·경북 ‘균형성장·산업혁신’ 본격 시동

2025-08-13     강신윤 기자
이재명 정부가 향후 5년간 추진할 국정운영 청사진을 공개했다.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는 개헌·권력기관 개혁, 신산업 육성과 함께 대구·경북 발전을 겨냥한 굵직한 프로젝트들이 포함됐다.

균형성장 분야 핵심은 ‘5극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다.

대구·경북은 영남권 거점의 핵심 축으로 지정됐다. 국정위는 산업·교통·문화 인프라를 집중 확충하고, 혁신도시 시즌2와 연계한 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검토한다.

세종 행정수도 완성과 더불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이 지역 SOC의 중추로 자리한다.

신공항 주변에는 물류·관광 벨트를 조성해 항공·관광산업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경북 동해안 에너지·방산 산업 클러스터도 병행 구축해 지역 산업 구조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경제 부문에선 대경권 주력 산업인 미래형 모빌리티, 방산, 에너지 신산업 투자가 확대된다. 정부는 **10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를 조성, 배터리·로봇·AI·방위산업 분야를 중점 지원한다고 밝혔다.

권역별 특화 전략도 구체화됐다. △포항·구미 이차전지·철강 고도화 △경산·대구 로봇·메디컬 융합산업 육성 △울진·영덕 원전·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등이 추진된다.

이와 함께 R&D 예산 확대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지역 연구 인프라를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서민·소상공인 지원책에는 채무조정 프로그램 확대, 전통시장·상권 르네상스 사업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대구 서문시장, 경주·안동 등 전통 상권 활성화를 꾀한다. 농어촌 분야에서는 경북 농어촌을 대상으로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또 대구권 광역철도망 확충과 경북 북부권 광역교통망 개선이 명시돼 산업·관광 접근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계획에 경북 동해안 산업벨트를 포함했다. 원전 해체·소형모듈원전(SMR) 산업을 육성하고, 탄소중립형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한다.

방산 부문에선 구미·경북권 방위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 수출 중심의 ‘방산 4대 강국’ 도약 계획에 반영한다. 사회안전 분야에선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산재 국가책임제 강화로 포항·구미 등 산업재해 취약 지역의 안전 대책을 강화한다.

국정위는 5년간 210조 원 규모 재정투자 계획을 마련, 대구·경북에도 맞춤형 재원을 배분한다. 대통령 직속 ‘국가미래전략위원회’를 설치해 권역별 국정과제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시 입법·예산 지원을 병행한다.

이번 계획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대구·경북 주요 프로젝트는 연도별 로드맵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