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연이은 중대재해…김영훈 고용부 장관 “안전관리 전면 재검토”
2025-08-05 강신윤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5일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건설현장에서 올해만 네 차례나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라며 “사고의 반복은 관리책임자의 구조적 무책임을 드러낸 것으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의 사고는 전날(4일) 서울-광명 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발생했다. 이 현장은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고 있으며, 당시 작업 중이던 30대 이주노동자가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현재까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올해 들어 네 번째다.
지난 1월 경남 김해의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했고, 4월에는 경기 광명의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붕괴사고, 대구의 주상복합 신축현장에서는 또다시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이례적으로 해당 기업을 직접 언급하며 강하게 질타했다.
그는 “일하러 갔다가 5명이 사망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된다는 건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고, 법률적으로 말하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영훈 장관은 이에 발맞춰 지난달 31일 포스코이앤씨의 모기업인 포스코홀딩스 본사를 직접 방문해 장인화 회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중대재해를 단순 사고로 보지 말고, 경영시스템의 실패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실질적인 재발 방지대책을 촉구했다.
포스코그룹은 이에 따라 ‘안전관리 혁신 계획’을 마련해 발표했다. 그러나 불과 일주일 만에 또 인명사고가 발생하면서 해당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번 사고는 포스코이앤씨가 네 번째 사망사고 이후 전국 건설현장 공사를 전면 중단했다가 작업을 재개한 당일에 발생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이와 관련해 포스코이앤씨의 안전관리 계획이 실제 현장에 충분히 이행됐는지, 작업 재개에 앞서 적절한 점검과 검증이 있었는지 여부를 면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또한, 전국 62개 포스코이앤씨 건설현장에 대해 불시 감독을 시행하고,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집중 수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동부 관계자는 “반복된 중대재해는 구조적 안전불감증과 시스템 실패의 결과”라며, “일벌백계의 원칙에 따라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해 경각심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형 건설사의 책임경영 강화와 정부의 안전관리 감독 시스템 개편이 다시금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계획 수립만으로는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며, “현장에서의 실질적 이행 여부에 대한 정부의 상시 감독 체계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