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노조 “노조 배제된 안전논의 인정 못해”

광양제철소 사망 사고에 강경 대응…“노사 자율 안전시스템이 해법”

2025-07-29     강신윤 기자
광양제철소 사망사고와 관련해 포스코노동조합이 공식 성명을 내고 “노조를 배제한 안전 논의는 단 한 건도 인정하지 않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기존 관리자 중심의 형식적 안전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노총 금속노련 산하 포스코노동조합(위원장 김성호)은 29일 성명을 통해 “노동조합의 존재 이유이자 가장 숭고한 사명은 조합원과 현장 노동자의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며 “더는 조합원의 안전도 보장하지 못하는 구조를 방치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번 사고의 본질을 단순한 재해가 아닌 구조적 결함의 결과로 진단하고, 현장을 가장 잘 아는 노사 공동의 자율점검과 실질적 협력만이 대안이라고 밝혔다.

포스코는 수년간 막대한 안전 예산을 투입해왔지만, 중대재해는 반복돼왔다.

노조는 “이는 단순한 설비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문제”라며 “외부 점검이나 일시적 대책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전 제철소 위험설비에 대한 노사 공동 점검, 안전관리 시스템 전면 재검토, 조합원이 참여하는 안전문화 정착 등 3대 실천안을 제시했다.

김성호 위원장은 “노조가 안전을 외면한 채 구조 개선 없이 사고 재발을 방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노조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자생적 안전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고인과 유가족께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포스코노조의 이번 성명은 단순 대응을 넘어 노동조합이 안전 문제의 중심 당사자로서 역할 전환을 선언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사고가 이어지는 현실에서 노사 공동책임형 안전관리 모델이 새로운 흐름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안전 분야 전문가는 “노조가 참여하는 실질적인 점검과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구조적 재해는 반복된다”며 “현장 이해도를 갖춘 주체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