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교육지원청 POEX 2단계 몽니부리나... 동부초 이전 공식 거부, 미래산업 좌초 위기
포항시 고위관계자 “임종식 교육감 협조 입장 이행 안돼”...포항시 2023년부터 동부초 이전 실무협의...구두 합의로 조사 용역 실시...포항교육청 “동부초 이전대상 아니다”
포항교육지원청이 포항시 미래 역점사업인 ‘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이하 POEX)’ 2단계 사업에 대해 몽니를 부리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POEX 2단계 사업은 1단계 사업과 인접한 동부초등학교를 이전해 추진하도록 계획돼 있지만 포항교육청이 동부초 이전 문제에 대하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좌초 위기에 처했다.
포항시는 동부초 부지에 POEX 2단계 사업을 추진해 영일대 해수욕장 장미공원 부지와 연계, 해안 경관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세웠다.
포항시 고위관계자는 “동부초 이전 문제에 협조하겠다는 임종식 경북교육감의 입장과 달리 포항교육청의 담당자들은 인사 이동으로 인해 매번 원점에서 머물고 있다”며 안타까워 했다.
포항지역 사회단체 관계자는 “포항교육청 교육장이 중심을 잡고 이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담당 부서의 부정적 의견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포항의 미래산업에 교육당국이 적극 협조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포항시는 북구 장성동 옛 미군 캠프리비 부지에 POEX 1단계 공사를 진행 중이다.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6만3818여㎡ 규모로 2166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인접한 동부초 부지를 편입해 특급호텔과 숙박시설 등을 갖춘 ‘2단계 확장’을 통해 포항을 전국 5대 MICE(회의·전시·컨벤션·이벤트) 중심지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은 ‘교육청 벽’에 부딪혔다. 포항교육청은 “학교 이전은 불가하다”며 단칼에 거절하고 있다.
‘학생 중심 판단’이라는 명분은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시와 수개월간 실무협의와 면담을 이어오다가 갑작스럽게 태도를 바꾸며 사업을 틀어막고 있는 형국이다.
교육청 측은 “동부초는 최근 70억원을 들여 리모델링한 상태이고, 주변 장성동 주택재개발, 라한호텔 쪽 아파트 개발 완료시 학생 수 증가가 예상돼 현재 위치가 최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포항시가 제시한 대체부지에 대해서도 “거리 문제와 입지 여건이 열악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이어 “포항시에서 제시한 3개 예정부지 가운데 1순위 지목한 청우대림2차 인접 녹지는 현 위치와 직선거리 600m 차이로 통학거리가 상당히 늘어나고 현대제철 사옥 인근 부지는 아파트가 예정돼 있고, 두호공원 예정부지도 현실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 때문에 동부초등 이전의 정당한 이유를 찾을 수 없어 공청회 또는 설명회를 열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포항시와 구체적인 협의를 가진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포항시는 2023년부터 실무 접촉과 조사용역까지 마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협의 없이 조사용역을 진행했겠느냐. 구두 합의에 따라 추진된 절차”라며 “교육행정의 문제를 들어 이전이 불가하다고 못 박는 것은 상식 밖”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특히 시는 학교 인근 유흥업소 밀집 등 교육환경 문제를 지적하며, 교육청이 지역 교육의 질을 위해서라도 이전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동부초 주변은 학부모 민원이 잦고, 도심 슬럼화가 진행 중인 지역이어서 이전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교육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마치 ‘내 땅은 못 준다’는 고집만 반복하고 있는 형국이다.
포항교육청의 비협조 자세는 사업계획서조차 “사후에나 논의하자”는 식으로 거부하는 태도에서 읽을 수 있다.
시가 수년간 준비한 국제 컨벤션 중심 전략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되는 상황이다. 지역 경제계와 정치권은 교육청의 이런 태도를 ‘무책임하고 시대착오적인 행정’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 지역 상공인은 “교육청의 이기주의와 폐쇄성, 이른바 ‘몽니 행정’이 포항 전체의 미래를 발목 잡고 있다”며 “자기 밥그릇만 지키겠다는 고집이 지역 전체를 퇴보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역의 한 정치권 관계자도 “수천억원 규모의 전략사업이 공공기관 간 협의 실패로 좌초 위기라는 건 부끄러운 일”이라며 “교육청이 언제까지 ‘우리 일 아니다’는 태도로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포항시는 직접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시민 공감대를 확보하고, 교육청을 다시 협상 테이블로 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민의 이름으로 요구하는 사안인 만큼, 교육청이 더 이상 외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POEX 2단계가 무산될 경우, 포항의 마이스산업 전략은 궤도 수정을 피할 수 없다. 교육당국의 협치 없는 폐쇄행정과 몽니가 포항이 미래산업을 흔들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