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K-FOOD 기회발전특구’ 도전한다…농·축·수산물과 관광 연계 모델 개발

특구 정책 추진해 성장동력 극대화...경주시, ‘K-FOOD 기회발전 특구’에 도전…경북 배정면적 200만평 중 47만5천평 남아

2025-07-15     김대엽 기자
▲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입니다. ⓒ영남경제 자료

경주시가 식품 관련 앵커기업을 유치해 'K-FOOD 기회발전 특구' 지정에 도전한다.

또, ‘SMR 규제자유특구’ 지정 신청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어 적극적인 산업특구 유치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주시는 ‘K-FOOD 기회발전 특구’ 지정 신청을 위해 지난해 12월 경북테크노파크에 용역을 의뢰했으며, 오는 10월에 지정 신청을 접수할 계획이다.

경주시는 이보다 앞서 지난해 4월 영주시와 함께 ‘미래모빌리티 기회발전 특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지방시대위원회의 최종심사에서 탈락했다.

이후 주낙영 경주시장은 기회발전특구 지정 신청 분야를 ‘K-FOOD’로 변경해 추진토록 지시하면서 방향을 전환했다.

경주시는 경주의 풍부한 농축수산물과 우수한 관광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체험관광상품을 연계한 ‘K-FOOD 밸류체인’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기회발전 특구가 제조업 중심으로 지정되고 있는 것과 차별되는 특징으로, 경주시는 글로벌 관광도시이자 도·농·어촌 복합도시로서의 경주시만 할 수 있는 계획이라는 평가다.

결국 경주시는 ‘K-FOOD 기회발전 특구’ 지정을 통해 농·축산·어업 분야와 식품가공 등의 제조업 분야, 체험관광 연계를 통한 관광서비스 산업 분야까지 모두 아우르는 밸류체인 조성을 제안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앵커기업 역할을 할 수 있는 대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경북 도내에 지정된 기회발전특구는 포항 77만4천평, 구미 국가 1-5산단 56만8천평, 상주 청리산단 11만3천평, 안동 경북바이오2차 7만평 등 152만5천평이 특구 지정을 받았다.

경북도의 기회발전특구 배정면적은 200만평에 달하는데 잔여 면적은 47만5천평이 남아있다.

기회발전특구는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을 유도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하는 구역이다.

세제·재정 지원과 규제 특례를 제공한다. 2024년 기준 전국 14개 비수도권 시·도에 264만8천㎡(80만2천447평) 규모로 조성됐으며, 부산 기장·강서구 일원(189만7천㎡)이 추가 지정됐다.

한편, 경주시는 지난해 현대모비스를 앵커기업 삼아 '미래 모빌리티 기회벌전특구' 지정에 나섰으나 지방시대위원회 최종 심사에서 물류기업인 현대모비스의 앵커기업 역할에 부정적 판단으로 무산됐다.

경주시는 명계3산단 6만8천평, 현대모비스, 진영산업, 시그마, 신화에스엠지 등 4개 기업 투자금액 2천449억원의 사업계획을 수립했지만 통과되지 못하고 이번에는 국내 식품 대기업을 내세워 다시 도전한다.

‘기회발전특구’ 지정 추진과 함께 ‘SMR 규제자유특구’ 지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을 단위로 지역과 기업이 직면한 신사업 관련 덩어리 규제를 패키지로 완화해 주는 제도다.

이를 통해 지역으로의 투자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의 혁신성장과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취지다.

경주시는 다음 달에 후보특구 신청을 하고 내년 1월에 정식으로 특구 지정을 신청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4월에 경주시 SMR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위한 전략수립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경북에는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안동 산업용 햄프, △김천 스마트물류, △경산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의성 세포배양식품 등 5개 시군이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