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탄소중립도시 구현, 통합적 공간계획이 핵심
감축수단 간 연계로 최대 3,571톤 추가 감축 가능... 에너지 자립률 47.5% 달성
2025-06-04 김수정 기자
탄소중립도시는 단순히 개별 감축수단을 나열하는 것이 아닌,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감축수단을 종합적으로 구현하는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정과 방법론이 불명확했다.
국토연구원 연구팀은 통합적 공간계획모형을 ①여건 분석, ②감축수단 및 목표 설정, ③우선순위 공간평가, ④탄소중립 우선구역 설정 및 통합적 공간계획 수립 등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과학적·정량적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 모형을 대구 수성구 고산역 일대 39.7헥타르에 시범 적용한 결과, 태양광 패널, 그린리모델링, 전기차 충전인프라, 흡수원 등 주요 감축수단을 통합 적용해 연간 7,138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건물옥상과 도로 상부 등 유휴공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연간 1만2,357MWh의 전력을 생산하고, 59개 건물에 그린리모델링을 적용해 3,470MWh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감축수단 간 연계·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다. 연구팀은 "흡수원의 미기후 조절에 따른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과 건물 냉방에너지 절감 효과를 고려하면 최소 146톤에서 최대 3,571톤의 이산화탄소를 추가로 감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지역의 에너지 자립률은 47.49%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구도심 지역에서도 에너지 수요량의 절반 가까이를 자체 공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고무적인 결과다.
연구팀은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으로 △근거기반 계획수립 강화 △계획 간 정합성 확보 △청정에너지 수요·공급 연계 강화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전 국토의 탄소중립도시 실현은 하나의 신규 사업으로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기존 도시정비·개발사업에 탄소중립적 요소를 강화하고 공간 중심으로 결합해 시너지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또한 "구도심 지역에서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잔여 배출량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지역난방 전환이나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청정에너지 구매 등 추가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