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패배 후폭풍 휩싸인 국민의힘…쇄신론·지도부 책임론 확산

2025-06-04     강신윤 기자
국민의힘이 대선 패배 충격에 휩싸이며 당내 쇄신론과 지도부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계엄령 논란과 탄핵 정국 속 치러진 선거에서 정권을 다시 내준 데 대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내에선 대선 패배를 계기로 뼈를 깎는 반성과 함께 당 전면 쇄신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친한동훈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 해체와 지도부 총사퇴를 촉구하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동훈 전 대표는 “국민은 불법 계엄과 그 세력을 옹호한 구태 정치에 단호히 퇴장 명령을 내렸다”며 “국민이 먼저인 정치로 바꾸는 마지막 기회”라고 밝혔다. 경선 경쟁자였던 안철수 의원도 “탄핵 찬반으로 나뉘어 싸운 경선은 옳지 않았다”며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김기현 의원은 “당이 뼛속까지 바뀌어야 한다는 명령”이라며 지도부 책임을 언급했고, TK 중진 김승수 의원은 “총선 참패와 대통령 탄핵까지 당하고도 여전히 오만하다”며 당의 무기력과 무책임을 지적했다. 조정훈 의원도 “기대마저 저버렸다”며 혁신을 약속했다.

특히 박정훈 의원은 김용태 비대위 해체와 권성동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며,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고 새 원내지도부를 꾸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중진 의원도 “선거 패배 시 지도부 책임은 당연한 정치적 관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도부는 이날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공개적으로 사의를 표명한 인사는 박대출 사무총장이 유일했다. 권성동 원내대표의 거취와 관련해선 “민주당의 입법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경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친윤계 중진은 “지금 지도부 사퇴는 시기상조”라며 “당원에게 판단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장 5일 예정된 의원총회에서는 전당대회 개최 여부, 비대위 연장, 원내대표 선출 문제 등을 놓고 계파 간 치열한 논의가 예고된다.

당 관계자는 “지금은 여당 견제보다 내부 정리가 우선”이라며 “의총에서부터 본격적인 방향이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