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 차세대 수소 기술 개발 주도 국제공동연구 사업 최종 선정
102억 대규모 연구… 김용태 교수 중심 세계적 기술 확보 목표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컨소시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글로벌 협력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일환인 '수소 국제공동연구(H2GATHER)'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 프로젝트는 향후 5년간 약 102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연구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차세대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인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AEMWE,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zer)'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혁신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용태 POSTECH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사업단장을 맡고, 화학과 박문정 교수와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가 공동 연구원으로 참여한다. 국내 연구진으로는 서울대, KAIST, UNIST, KENTECH를 비롯한 주요 대학들과 한국유미코아촉매, 테크윈 등 산업체가 함께한다.
해외에서는 수전해 촉매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미국 노스웨스턴대 에드워드 사전트 교수, 멤브레인 내구성 연구의 전문가 렌셀러 폴리네크닉대 배철성 교수, 시스템 모델링 전문가 텍사스A&M대 조셉 권 교수 등이 참여해 기술 고도화를 지원한다.
연구팀은 음이온 교환막 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촉매, 멤브레인, 셀 및 스택 기술 전반을 개선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니켈 기반 비귀금속 촉매를 활용한 고활성·고내구성 구현, 신규 이오노머 및 혼성 멤브레인을 통한 장기 내구성 확보, 3D 프린팅 기반 셀 제조 등을 통해 산업 적용이 가능한 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김용태 교수는 "이번 사업을 통해 AEMWE 분야에서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2030년 목표 수소 단가인 1달러/kg 달성에 한 걸음 다가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수소 기술이 반도체와 이차전지에 이어 국가의 핵심 전략 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청정 에너지 기술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특히 국내외 석학들과 산업계가 협력하는 모델을 통해 기초 연구부터 상용화까지 일관된 기술 개발 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