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가 0.50% 상승, 전분기 대비 0.06% 상승폭 축소
1분기 토지거래량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 수도권 중심 상승세 지속
2025년 1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가는 0.5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분기(2024년 4분기) 0.56% 대비 0.06%p 하락한 수치지만, 전년 동기(2024년 1분기) 0.43% 대비 0.07%p 상승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0.66%, 지방권이 0.22% 상승했으며, 두 지역 모두 전분기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서울(0.80%)과 경기(0.57%)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특히 서울 강남구(1.30%), 용인 처인구(1.26%), 서울 서초구(1.16%)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대구의 지가변동률은 0.26%으로 평균 0.50%보다 낮으며 거래량 또한 전분기 1만6147건으로 2025년 1분기에는 32.1% 줄어든 1만968건이다. 경북의 지가변동률은 0.23%로 거래량은 전분기 3만5441건에서 당해연도 1분기 3만772건으로 8.9%감소 되었다.
전국 252개 시군구 중 219개 시군구가 0.00%~0.60%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주로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지가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0.18%로, 비대상지역(0.52%)보다 0.34%p 낮은 수준을 보였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55%)과 상업지역(0.55%)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이용상황별로는 상업용(0.56%)과 공업용(0.52%)이 상대적으로 높게 상승했다.
한편, 2025년 1분기 전체 토지거래량은 약 43.3만 필지(285.8㎢)로, 전분기 대비 6.2%(2.9만 필지)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2.6%(1.1만 필지)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거래량은 약 15.0만 필지(261.2㎢)로, 전분기 대비 8.8%(1.4만 필지), 전년 동기 대비 11.5%(1.9만 필지) 감소했다.
지역별 토지거래량은 광주(26.6%), 세종(15.4%) 등 5개 시·도에서 전분기 대비 증가했으나, 나머지 12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순수토지거래량은 광주(105.7%)와 전남(1.7%)에서만 증가했고, 나머지 15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는 관리지역(-16.1%), 임야(-18.7%), 공업용(-27.5%) 등의 거래량이 전분기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지가가 2023년 3월(0.008%) 상승 전환 이후 25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2025년 3월에는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