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 전쟁 격화… 한국 경제에 ‘불똥’ 튀나
국내 유통·제조업계 초긴장…알테쉬 활용 덤핑 가능성↑…정부 선제적 대응 방안 필요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국내 유통업계와 중소 제조업계가 긴장감 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막힐 경우, 대량의 저가 재고 물품이 한국으로 쏟아져 들어와 국내 소비 시장 전반을 교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 104% 부과를 발효한 데 이어, 최근에는 800달러 미만 수입품에 대한 관세 면제 제도인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2일부터 미국으로 향하는 소액 소포에도 120%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러한 관세 폭탄은 그동안 초저가 상품을 앞세워 미국 소비 시장을 잠식해 온 중국산 제품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은 관세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중국산 상품 주문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미국 세관이 처리한 중국산 면세 소포는 전체 14억 개 중 60%에 달한다.
초저가 상품을 무기로 미국 온라인 유통 시장 점유율을 높여온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인 테무와 쉬인 역시 위기에 직면한 모습이다.
테무와 쉬인은 오는 25일부터 물건값을 인상하겠다고 미국 소비자들에게 공지하고 광고비를 줄이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판매량 급감에 따른 영업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유통업계는 미국행이 좌절된 막대한 양의 중국산 상품이 어디로 향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제조·유통사가 미국을 대체할 시장을 물색할 경우, 한국이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로 고려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리적 근접성, 저가 상품 선호 성향, 세계 5위 규모의 온라인 쇼핑 시장 등이 한국 시장의 매력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주요 사업자로 자리 잡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계 플랫폼, 이른바 '알테쉬'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이 덤핑 물량 공세에 나설 경우, 이들 플랫폼이 주요 창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와이즈앱·리테일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알리익스프레스의 월간 이용자 수(MAU)는 912만 9천 명으로, 종합몰 중 쿠팡(3천361만 8천 명)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테무는 830만 7천 명으로 4위에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시간 차는 있겠지만, 중국이 쌓인 재고를 소진하기 위해 알테쉬를 내세워 대대적인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등 덤핑 공세를 펼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전망했다.
이미 국내 시장에서 중국산 상품이 확보한 저변은 상당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발 해외직접구매(직구)액은 7억 8천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직구액이 4.4%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에 따라 전체 직구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9.6%에서 57.9%로 상승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중국으로부터의 직구 건수 또한 3천248만 6천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중 관세 전쟁의 여파로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가 가속화될 경우,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중소 제조업은 물론 토종 이커머스 업체에도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대미 수출품 관세 격차를 악용한 원산지 허위 기재가 성행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산 상품이 한국을 경유하면서 '메이드 인 코리아'로 둔갑하는 이른바 '택갈이'를 통해 미국으로 수출될 경우, 국내 중소 제조업이 추가적인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관세청 역시 이러한 점을 우려하여 한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산 상품의 원산지 단속을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저가 상품이 시장에 쏟아져 나올 경우, 중장기적으로 국내 제조·유통업 경쟁력이 약화하고, 그에 따른 부담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정부와 업계가 중국산 상품의 비정상적인 국내 유입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